[단독] 한국항공우주, ‘차세대 중형인공위성 우선협상 대상자’ 선정

입력 2015-06-22 11:4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의 ‘차세대 중형인공위성사업’ 1단계 우선협상 대상자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사실상 확정됐다. 이르면 정부는 다음주 중으로 한국항공우주와 차세대 중형인공위성사업 우선협상 대상자 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전해졌다.

22일 정부 등에 따르면 정부의 우주개발 중장기계획 핵심 프로젝트의 첫 단추인 차세대 중형인공위성사업 1단계 우선협상 대상자로 한국항공우주가 선정됐다. 이번 우선협상 대상자는 차세대 중형인공위성 2호기를 주관하는 사업자다. 2호기를 주관하는 사업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주관하는 1호기 기술 개발에 참여하고, 2호기 개발에서는 기술이전을 받아 사업을 총괄하게 된다.

정부 관계자는 "최근까지 한국항공우주에 대한 현장실사와 서류심사를 끝냈다"며 "한국항공우주의 심사결과 점수가 예상보다 좋아 우선협상 대상자로 조만간 선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르면 정부는 다음주 중에 한국항공우주를 차세대 중형인공위성사업 1단계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할 예정이다. 이후 사업진행계획과 절차 등을 협의한 뒤 8월에는 본계약을 체결해 본격적인 차세대 중형인공위성 개발에 나서게 된다.

▲지난 3월 26일 발사돼 초기 운영 중인 다목적실용위성 3A호의 이미지이다.
차세대 중형인공위성 1단계 개발계획안은 차세대 중형인공위성을 오는 2019년과 2020년에 각각 1기씩 쏘아 올리는 것이 목표이다. 개발예산은 1호기 1572억원, 2호기 668억원 등 총 2240억원이다. 이번 개발사업은 500kg급 표준형 위성의 시스템과 본체 등 플랫폼을 확보하고, 흑백 해상도 ‘0.5m급’, 컬러 해상도 ‘2.0m급’의 정밀지상관측용 위성을 만드는 내용이다. 총 12기까지 잡힌 예산은 8426억원으로, 운영비 등을 포함하면 1조원 규모로 추정된다.

차세대 중형인공위성 1단계 사업은 그간의 국가 주도형 인공위성 개발 사업과 달리 국가가 축적한 우주기술을 민간에 이전하고 민간 산업체 주도로 위성을 개발하게 된다. 미래부는 광학(EO), 레이더(SAR), 적외선(IR) 등 다양한 탑재체의 장착이 가능한 표준형 위성 플랫폼을 개발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실용위성의 양산 체제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쌓아온 첨단위성 설계와 제작 기술의 본격적인 민간 이전을 통해 국내 우주산업의 첨단화와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목표다. 이번에 참여하게 되는 산업체는 항우연과 함께 공동설계팀을 구성해 1호기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이전받은 기술을 토대로 2호기 개발을 주관하게 된다.

김성훈 항우연 차세대중형위성사업단장은 "차세대 중형인공위성 1단계 사업자에 1호기의 기술개발과 이전 등을 통해 2호기 기술지원에 나서게 된다"며 "이번 프로젝트는 총 3단계로 나눠 사업이 진행된다"고 말했다.

이중 2호기는 시스템과 본체 개발, 조립ㆍ시험, 발사 등 종합적인 개발이 산업체 주관으로 진행되며, 항우연은 감리, 기술지원, 탑재체 개발 업무 등을 수행하게 된다. 현재 미래부 산하기관인 한국연구재단에서 사업자 선정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김익상 하이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한국항공우주가 이번 차세대 중형인공위성사업 1단계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될 경우 여러가지 면에서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김 애널리스트는 "차세대 중형인공위성 사업은 정부가 적극적으로 펼치는 정책으로, 상징적인 의미 뿐만 아니라 실적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추가적으로 발주하는 나머지 10기의 차세대 중형인공위성 사업자 선정에서도 한국항공우주가 유리한 고지를 확보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