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들 임금피크제 선제 도입… 현대차는 ‘난항’

입력 2015-06-18 16:22수정 2015-06-18 17:0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삼성전자 서초사옥(사진제공 삼성전자)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정부의 임금피크제 확산 드라이브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제계 등에 따르면 국내 주요 대기업은 지난해부터 근로 정년을 연장하는 대신 매년 일정 비율로 전년대비 임금을 줄이는 방식의 임금피크제를 도입해왔다.

임금피크제는 내년 정년 60세 연장 의무화와 청년 실업 해소를 위한 대안으로 주목받았다. 다만, 법으로 정해진 정년 연장과 달리 임금피크제는 노사 간 자율적인 협의를 통해 도입 여부가 결정된다.

국내 10대 그룹 중 현대자동차를 제외한 삼성, SK, LG, 포스코, 현대중공업, GS 등이 현재 임금피크제를 시행 중이다.

삼성그룹은 지난해 삼성전자, 삼성SDI, 삼성전기, 삼성생명, 제일모직 등 전 계열사가 만 55세 정년을 60세로 연장하고 56세부터 매년 10%씩 임금을 줄이기로 했다.

LG그룹은 LG전자와 LG디스플레이, LG화학 등이 이미 임금피크제를 도입했다. 2008년 임금피크제를 적용한 LG전자의 경우 정년을 만 55세에서 58세로 연장하는 대신 53세에서 55세까지 호봉을 동결한다. 이어 56세는 연봉의 90%, 57세는 80%, 58세는 70%를 각각 지급한다. LG디스플레이는 만 53~55세까지는 임금 동결, 56세부터는 매년 10%씩 임금이 줄어든다. LG화학은 만 57세를 기점으로 10%씩 임금을 삭감한다.

SK그룹은 SK하이닉스, SK텔레콤 등 일부 계열사가 정년을 60세로 늘리는 대신 연봉을 10%씩 매년 줄이고, GS그룹은 GS칼텍스, GS에너지가 만 58세부터 임금피크제를 적용해 직전 연봉의 80%를 지급한다.

포스코는 57세는 이전 임금의 90%, 58세부터 80%를 지급하고, 현대중공업은 정년 퇴직을 1년 앞둔 59세에 임금 수준이 조정된다.

반면, 현대차그룹 주력 계열사인 현대자동차는 임금피크제 도입에 난항을 겪고 있다. 현대차 사측은 2012년 이후 매년 임단협에서 노조에 임금피크제 도입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노조 측은 임금피크제를 사실상의 임금삭감으로 보고 논의 대상에서 제외해왔다.

특히 현대차그룹은 14개 계열사 노조가 올해 정기상여금의 통상임금 포함을 사측에 요구하며 공동투쟁에 나서기로 한 만큼 임금피크제 논의가 진전될 가능성이 갈수록 희박해 지고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 관계자는 "내년부터 시행될 60세 정년 의무화로 이미 청년들에게 심각한 고용절벽 현상이 시작되고 있다"면서 "임금피크제 도입 등 임금체계 개편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공공기관이 임금피크제 도입과 성과주의 확대를 선도하도록 유도하겠다는 정부의 방침은 매우 바람직하다"며 "민간부문에도 임금피크제 도입이 확산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