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한달] 보건당국, 안일한 대응이 사태 키웠다

입력 2015-06-18 10:2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진=뉴시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가 오는 20일로 한달을 맞는다.

중동에서 시작된 이 전염병이 한국에 들어온 지 한달만에 한국은 덮쳤다. 국민들의 불안은 물론 학교 휴업에 국내 경제에도 직격탄을 맞았다.

한달 전 1명으로 시작된 메르스 환자가 18일 오전 165명으로 늘어나며 전국을 혼란에 빠트렸다. 이 배경에는 보건당국의 허술한 대응이 있었다.

허술한 역학조사로 인한 잇따른 방역 실패는 여러 슈퍼 전파자를 만들었고 환자의 자발적 신고와 병원의 자체 통제에 대한 과신은 사태를 더 키웠다.

특히 국민의 우려를 막는 다는 이유로 요구가 빗발치는데도 병원 정보를 공개하지 않아 오히려 공포의 확산을 키우기도 했다.

그동안 중동 지역 밖의 국가에서 메르스 환자가 발생한 계속 발생했으나 한국처럼 많은 환자가 발생한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다.

국내 첫 메르스 환자인 1번 환자(68)가 확진 판정을 받은 것은 지난달 20일로 환자 발생 후 1주일간 감염 전파를 막는 일이 중요했지만 그러기에는 방역당국의 방역체계가 너무 부실했다.

방역망이 좁은 것도 문제였지만 지나치게 느슨했다는 점은 더 큰 실책이었다. 10번 환자(44)처럼 멀쩡하게 1번 환자와 같은 병실에 있었음에도 방역망에 걸러지지 않아 중국 출장까지 간 사례도 있었다.

두번째 방역관리 실패는 보건당국이 첫 유행지인 평택성모병원에서의 조사를 확대해 대대적인 재조사를 실시하면서 발생했다.

첫 환자 발생 후 9일이 지난 시점에 재조사가 시작돼 너무 늦기도 했지만 이 때도 방역망은 여전히 허술했다.

35번 환자(38)만 해도 자가격리 대상에서 빠져 병원과 다중시설을 돌아다닌 사실이 뒤늦게 발견되기도 했다. 1번 환자에 이어 슈퍼전파자가 된 14번 환자는 방역망 밖에 있을 때 이미 여러 병원을 방문했다. 삼성서울병원에서만 14번 환자를 통해 발생한 감염자가 80명이나 된다.

삼성서울병원에서의 느슨한 접촉자 관리도 사태를 키우는데 한 몫했다. 현재에도 환자 발생 우려는 여전히 진행중이다.

특히 방역당국은 사태 초반 병원 명단을 공표하지 않은 점은 타격이 컸다. 명단이 공개되면 우려가 지나치게 커질 것이라는 이유였지만, 이같은 정부의 대처는 오히려 사회 전반의 공포를 확산시키는 더 큰 부작용을 초래했다.

당국이 병원명단을 알리지 않는 사이 지난달 29일부터 '어떤 환자가 어떤 병원을 갔더라'는 근거 없는 정보들이 SNS를 급격히 퍼져나갔다.

결국 박원순 서울시장이 일부 병원명을 공개하고 병원명 공개 문제가 정치적인 이슈가 된 뒤인 지난 7일 방역당국은 방침을 바꿔 병원명단을 공개했지만 너무 늦었다는 비판이 많았다.

병원 공개 요구가 거세지기 시작한 지난달 29일부터 병원명단이 공개되기 전날인 6일까지가 증상 발현일인 메르스 환자는 모두 56명이나 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