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ㆍ현대차 등 대기업 9곳, 350개 협력사에 스마트공장 구축

입력 2015-06-11 06:5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민관 스마트공장 추진단’ 발족…2020년 1만개 확대 목표

국내 9개 대기업이 올해 350개 이상의 협력사에 대한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을 본격화한다. 스마트공장 사업은 제조업체의 기존 생산라인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생산성 향상, 품질 개선, 원가 절감 등을 통해 제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기업청은 11일 서울 세종대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스마트공장 전진대회’를 열고 삼성전자ㆍ현대자동차를 비롯한 9개 업종별 대표기업, 한국제약협회와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는 내용의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들 대기업은 올해 2·3차 협력사 등 350개 중소기업이 업종 특성을 고려한 스마트공장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업종별 지원 계획을 보면 삼성·LG전자(전자)가 120개사를 지원하는 것을 비롯해 현대차(자동차) 100개사, 두산·효성(기계) 50개사, 제일모직(패션) 25개사, SK텔레콤(통신) 20개사, 제약협회(제약) 20개사, 포스코(철강) 15개사, LS전선(전기) 5개사다.

정부는 산업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스마트공장이 민간 주도로 자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게 적극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산업부가 지난해 시범사업으로 스마트공장이 구축된 277개사의 성과를 분석한 결과, 불량률 감소(32.9%), 원가 절감(23.1%), 납기 단축(27.0%), 매출 증가(16.8%) 등의 성과가 나타났다.

또 이날 업무 협약에 이어 민관합동 스마트공장 추진단도 출범했다. 추진단은 현재 분산된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을 총괄하고, 스마트공장을 발전시켜나가기 위한 기술개발 기획과 표준·인증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추진단장으로는 박진우 서울대 산업공학과 교수가 선임됐고 대한상의, 생산기술연구원, 전자부품연구원 등 관련 기관에서 인력을 파견할 계획이다.

정부는 지난해 6월 발표한 ‘제조업 혁신 3.0 전략’의 핵심 추진과제로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을 추진 중이다. 올해 700개를 추가해 1000개로 늘릴 계획이며 2017년 4000개, 2020년 1만개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자료=산업통상자원부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