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분기 세계 모바일 AP 시장점유율 3.3%… 전분기比 0.5%p 상승
![](https://img.etoday.co.kr/pto_db/2015/06/600/20150605022821_649041_484_315.jpg)
5일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 글로벌 모바일 AP 시장에서 3.3%의 점유율(수량 기준)을 기록했다. 4세대 이동통신 LTE 시대 도래로 부진을 면치 못했던 삼성전자의 모바일 AP는 2년만에 분기 점유율이 상승세로 돌아섰다.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분기 하락했던 점유율은 올 1분기 전분기(2.8%) 대비 0.5%포인트 높아졌다.
삼성전자는 ‘갤럭시S’와 ‘갤럭시S2’ 등 초기 갤럭시 시리즈에 자사 모바일 AP를 탑재하고 애플 제품에 들어가는 AP를 위탁 생산하며 AP 경쟁력을 키워 나갔다. 그 결과 2011년 연간 점유율(수량 기준)은 12%까지 오르며 선두 퀄컴을 빠르게 추격했다.
그러나 4세대 이동통신 LTE 시대가 열리면서 상황은 급변했다. 통화권역이 바뀔 때 통화를 끊기지 않게 이어주는 기술을 구현하지 못하면서 퀄컴에 밀리기 시작한 것. 2012년 ‘갤럭시S3’ LTE 버전부터 삼성전자 자체 AP가 제외됐고 2013년 초 내놓은 ‘엑시노스5 옥타’ 역시 발열 등 불완전한 성능 및 LTE-A 지원 문제로 ‘갤럭시S4’와 ‘갤럭시노트3’, 지난해 상반기 선보인 ‘갤럭시S5’에 줄줄이 탑재되지 못했다.
더불어 삼성전자의 AP 단일칩이 기술적·경제적 측면에서 퀄컴 및 대만 등 경쟁 업체의 AP 통합칩에 밀리기 시작하면서 삼성전자의 AP 경쟁력은 크게 약화됐다.
이에 2012~2014년 사이 세계 모바일 AP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연간 점유율은 11.0%, 6.3%, 3.2%를 기록, 3년만에 점유율이 4분의 1 수준까지 떨어졌다. 2011년 퀄컴과 애플에 이어 3위였던 삼성전자는 2012년 대만 미디어텍과 미국 브로드컴에 밀려 5위로 내려앉았고 2013년과 2014년에는 각각 6위와 5위를 차지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5/06/600/20150605021418_649030_550_412.jpg)
삼성전자의 모바일 AP 지배력은 앞으로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2분기부터 갤럭시S6·엣지 효과가 본격화되고 하반기 애플용 AP 위탁생산도 시작되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애플의 스마트워치 ‘애플워치’의 AP ‘S1’과 올 하반기 출시가 예상되는 애플의 차기 스마트폰(‘아이폰6S’ 또는 ‘아이폰7’)에 적용될 ‘A9’ 등의 위탁생산을 맡은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모바일 AP 경쟁력이 살아나면서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의 실적을 끌어내리던 시스템LSI 사업부는 올 2분기 흑자전환이 유력하다”며 “세계 최초 14나노 핀펫 공정 적용 등 독보적인 시스템반도체 기술력을 갖춘 만큼, 삼성전자의 모바일 AP 지배력은 향후 더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