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15/06/600/20150605102253_648872_600_400.jpg)
이날 새벽까지 확인된 메르스 확진자 41명 중 30명이 이 병원에서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고, 나머지 사례 중 다수도 이 병원에서 파생된 감염으로 파악됐다.
기존 중동에서 메르스가 확산되는 패턴과 달리 최초 감염자로 인해 수십명에 이르는 원내 감염이 발생하자 보건당국은 평택성모병원의 환경에 대해 면밀한 조사를 펼치기로 했다.
실제로 보건당국이 민간 전문가와 함께 현장을 찾아 환경검체 조사 등을 벌인 결과 이런 의혹은 대부분 사실로 드러났다.
메르스 민간합동대책반의 역학조사위원장인 최보율 한양대 교수는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병실마다 있어야 하는 환기구와 배기구가 없는 것이 문제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최초 감염자의 기침으로 배출된 침방울과, 바이러스로 오염된 손과 접촉한 환자복과 리넨 등에서 발생한 먼지 등은 환기나 배기가 되지 않은 채 병실 안에 누적됐다.
이런 오염된 물방울과 먼지 등을 빨아들인 에어컨은 찬공기를 배출하면서 바이러스를 가스(에어로졸) 상태로 공기 중에 내뿜은 것으로 추정된다는 것이 최 교수의 설명이다.
에어로졸 상태가 된 침방울 입자 등은 훨씬 먼 공간까지 떠서 이동, 다른 병실과 층까지 도달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역학조사단은 5개 병실에서 에어컨 필터를 꺼내 조사한 결과 알엔에이(RNA) 바이러스 조각이 검출됐다. 병원 내 환자 손잡이 등 다른 환경검체에서도 바이러스가 발견됐다.
조사팀이 알아낸 또 하나의 바이러스 전달 경로는 바로 의료진이다.
환자가 집중 발생한 병동에 근무한 간호인력들도 확진자로 나왔는데, 이들이 감염된 상태로 병실을 돌면서 병원체를 더욱 퍼뜨렸을 것으로 보고있다.
그동안 보건당국의 감시망에서 벗어나 있던 이들이 각 지역사회에서 바이러스를 퍼뜨리고 있다면 지금까지의 의료기관 내 유행과는 완전히 다른 국면을 맞게될 것으로 점쳐진다.
이에 보건당국은 지난달 15∼29일에 병원 방문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벌여 증상이 의심되면 임시격리병원으로 이송하고 검사를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