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채권단, 포스코플랜텍 워크아웃 결정…포스코 지원 여부 '관건'

입력 2015-06-03 19: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모기업의 지원 없으면 워크아웃 무산될 가능성 존재

유동성 위기로 디폴트(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진 포스코플랜텍이 채권단의 워크아웃 개시 결정으로 법정관리 행을 피하게 됐다. 하지만 채권단이 모기업인 포스코의 지원 여부에 따라 워크아웃에 대한 최종 판단이 바뀔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여전히 열어둬 향후 포스코의 결정에 눈길이 쏠린다.

포스코플랜텍 주채권은행인 KDB산업은행과 신한·우리·외환은행 등 12개 채권금융기관은 3일 서울 여의도 산은 본점에서 포스코플랜텍 제1차 채권금융기관협의회를 개최해 포스코플랜텍의 워크아웃 개시를 결정했다.

이에 따라 채권단은 외부전문기관을 통해 포스코플랜텍 실사를 진행, 실사 결과를 바탕으로 8~9월 중 채무재조정을 포함한 경영정상화방안을 수립해 정상화 작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앞서 채권단은 지난달 26일 포스코플랜텍이 산업은행에 워크아웃을 신청했을 당시, 대주주인 포스코의 지원 없이 포스코플랜텍에 대한 단독 지원은 힘들다는 입장을 강경하게 보여왔다.

하지만 이날 포스코가 채권단협의회에 참석해 포스코플랜텍에 간접적으로 지원하겠다는 등 포스코플랜텍의 경영 정상화를 돕겠다는 의지를 표명하며 채권단을 설득한 것으로 전해졌다.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워크아웃이 진행되면 채권단이 일부 희생을 할 수밖에 없다”며 “포스코가 이를 감안해 향후 포스코플랜텍에 대한 자금 지원 등의 의지를 보이지 않겠느냐”라고 설명했다.

이는 채권단이 워크아웃을 통해 고통 분담에 나선만큼 포스코도 이에 상응하는 희생을 감내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날 채권단이 포스코플랜텍의 워크아웃 개시를 결정했지만, 사실상 채무 상환 유예의 성격이 짙다. 워크아웃이 진행되도 향후 모기업인 포스코의 지원 여부나 관련 논의 사항에 따라 워크아웃이 무산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이에 대해 한 관계자는 “포스코가 포스코플랜텍에 대한 지원 의지를 보이는 게 중요하다”며 “아직은 언급하기 이르다. 포스코플랜택에 대한 실사를 진행한 뒤 향후 경영정상화 방안을 수립하면서 논의할 문제”라고 밝혔다.

한편 포스코플랜텍의 금융권 여신액은 총 5800여억원으로,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채권비율 30.4%)이 가장 많고, 외환은행(12.3%), 신한은행(11.3%), 우리은행(10.9%) 순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