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당국, 메르스 의심병원 공개 안하나 못하나…국민 불안감 부추기나?

입력 2015-06-01 17:2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문가들도 찬반 엇갈려…복지부 “불필요한 오해” 공개않는 원칙 고수키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진 환자 대부분이 특정 병원에서 감염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해당 병원 이름을 공개하라는 여론이 거세 지고 있다. 그렇지만 보건당국은 비공개가 원칙이라며 끝까지 이를 함구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확인되지 않은 특정 병원의 중환자실이 폐쇄됐다는 등의 소문이 급속도로 퍼져 2차 피해를 내고 있다.

1일 보건당국에 따르면 특정시기를 전후해 그 병원에 있던 사람을 조사중인 가운데 병원을 공개할 경우 불필요한 오해와 과도한 걱정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이유로 해당 병원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복지부는 또 다른 나라도 국가 격리병상을 제외하곤 구체적으로 병원을 공개하는 경우가 많지 않다는 설명했다.

문형표 장관 역시 “첫번째 환자가 입원해 메르스가 확산된 병원을 휴원 조처한 상황에서 해당 병원 이름을 공개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고 말했다.

그런 가운데 국내 첫 번째 환자(총 ⓐ, ⓑ, ⓒ, ⓓ 등 4개 병원에 외래 및 입원)가 입원해 15명에게 바이러스를 옮긴 전파시킨 ⓑ병원은 현재 휴업 상태다. 간호사가 확진은 받은 ⓐ병원과 의사가 확진을 받은 ⓒ병원은 현재 정상 진료를 진행하고 있다.

ⓑ병원에 남아있던 환자는 다른 병원으로 전원하거나 시설 또는 자택에 격리해 모니터링 중이다.

1일 기준으로 밀접 접촉자로 분류돼 자가격리 중인 인원은682명이다. 전날 보겅단국이 밝혔던 129명보다 훨씬 증가한 수치다. 이에 따라 해당 병원을 공개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더욱 거세지고 있다.

권준국 국장은 “682명이 ⓑ병원에만 해당되는 자가격리 대상이다. 응급실 혹은 외래 방문 등 상황을 최대한으로 넓혀 조사하고 있어 이 숫자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자가격리자들간 감염 가능성에 대해 철처히 모니터링 중"이라고 전했다.

그런 가운데 병원 공개 여부를 두고 전문가들도 찬반이 엇갈리고 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지난 2003년 사스사태 당시 해당 병원이 알려지면서 지역 주민들의 큰 반발을 받은 사례가 있다. 국민성을 고려할 때 역효과를낼 가능성이 더욱 크다”고 설명했다.

반면 익명을 요구한 A병원 감염 내과 의사는 “의료진까지 감염된 위험한 상황이 된 만큼 정부가 확보한 메르스 환자와의 밀접접촉자 명단을 공유해 감염자의 추가 발생을 막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