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청년, 높은 교육수준에도 취업 어려워…한국, OECD 상대 실업률 1위

입력 2015-05-28 09:1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 청년 실업률, 중장년보다 3.51% 높아…OECD 평균은 2.29배

한국 청년의 교육ㆍ지적 수준을 세계 최고를 자랑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실업률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27일(현지시간) 발표한 ‘OECD 직업역량 전망 2015(ECD Skills Outlook 2015)’에 따르면 2013년 기준 핵심생산인구(30~54세) 실업률 대비 청년(16~29세) 실업률은 한국이 3.51배로 OECD 조사 회원국 22개 가운데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청년 실업률이 핵심생산인구인 중장년 실업률보다 3.51배나 높은 것을 뜻한다. OECD 평균은 2.29배다.

청년 실업률이 3배를 넘는 회원국은 한국을 포함해 스웨덴(3.16), 노르웨이(3.05), 이탈리아(3.00) 4개국이다. 가장 낮은 비율을 자랑한 국가는 독일(1.58)로 집계됐다.

일하지 않고 교육ㆍ훈련을 받지도 않는 ‘니트족(NEET: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이 한국 청년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8.5%로 스페인(26.8%), 이탈리아(26.1%), 아일랜드(19.2%), 슬로바키아(19.1%)에 이어 5위를 기록했다. 이는 금융위기를 겪었던 남유럽 국가를 제외하고 거의 최고 수준이며 OECD 평균은 14.9%였다.

높은 실업률에도 한국 청년층의 교육 수준은 세계 최고를 나타냈고, 읽기, 수학 능력 역시 OECD 평균을 뛰어넘었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 및 직업교육을 이수한 25~34세 청년 비율은 한국이 67.1%를 기록하며 조사 대상국 가운데 1위 자리에 올랐다. 이는 2위인 일본(58.4%)보다 10% 포인트 높고, OECD 평균치인 42.7%보다 무려 25%포인트를 웃돈 것이다. 2012년 OECD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에서 한국 15세 학생은 수학 과목에서 1위, 읽기는 일본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