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배구조 개편 이슈, 그룹주 펀드 눈길… SK그룹주펀드 '씽씽'

삼성 지배구조 개편 이슈로 관련 그룹주 펀드가 주목받는 가운데 최근 지배구조 단순화 절차를 성공적으로 마친 SK그룹주의 성과가 가장 돋보였다.

27일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키움SK그룹우량주플러스증권투자신탁 1[주식]A1의 최근 1년 성과(27.21%)는 동기간 국내주식형 펀드 평균 성과(6.16%)를 크게 앞섰다. 이는 동기간 그룹주 펀드 평균 수익률(삼성그룹주 펀드 제외)이 -4.86%로 역성장 한 것과 비교하면 압도적으로 높다. (기준일: 2015.5.26)

SK 그룹주 펀드가 날아오른 데는 SK C&C 주가 상승의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 나온다.

SK그룹은 2007년 SK를 중심으로 한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했지만 SK 위에 SK C&C가 존재하는 옥상옥 구조의 비정상적 체제를 유지해 왔다. 이에 두 회사의 합병설이 끊임없이 제기됐지만 2~3년 전만 해도 SK C&C의 가치가 낮아 합병 이후 대주주의 안정적인 지배력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그러나 지난해 이후 반도체 시장 진출 이슈로 SK C&C의 주가가 오르기 시작하면서 SK와 합병 가능성도 증폭됐다. 연초 12만원대이던 SK C&C 주가는 지배구조 재편 기대감을 안고 연말 27만원대로 치솟았다.

SK와 LG, 삼성 등 그룹주펀드 운용역인 박성진 키움투자자산운용 팀장은 “지배구조 문제가 떠오른다고 해서 그룹주가 다 오르는 것은 아니고 이슈가 되는 종목을 얼마나 편입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며 “지난해 SK그룹주 펀드에는 SK C&C 주식을 많이 편입했기 때문에 성과가 좋았다”고 설명했다.

반면 LG그룹의 경우에는 지배구조 관련 이슈가 펀드 성과에 크게 반영되지 않았다.

미래에셋TIGER LG그룹+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과 한국투자LG그룹플러스증권투자신탁 1(주식)(A)의 최근 1년 수익률은 각각 6.87%, 5.71% 수준으로 동기간 20% 넘게 상승한 SK그룹주펀드와 차이를 보였다.

지난해 LG상사의 범한판토스 인수와 관련해 LG 오너가 4세 경영 승계가 가시화 되면서 LG상사가 지배구조 핵심기업으로 지목되는 등 관련 이슈가 등장한 바 있다.

박 팀장은 “지배구조 이슈라도 시총이나 편입 비중이 작은 LG상사에 국한됐기 때문에 그룹주 펀드 실적과는 큰 연관성이 없었다”며 “오히려 올해 LG생활건강, LG하우시스, LG화학 등 최근 각광받은 업종을 중심으로 편입을 확대하면서 연 초 이후 실적이 전년도의 두 배 이상씩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지배구조 재편에 대한 기대감이 살아 있더라도 현대차처럼 기업 자체 펀더멘탈 문제가 더 크게 부각되는 경우 그룹주 펀드 수익률 부진이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