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금호산업 매각, 박삼구 회장과 직접협상으로 가닥…'금액 차' 진통 예상

입력 2015-05-07 17:2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금호산업 채권단이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과 수의계약을 진행하는 것으로 방향을 잡았다. 유찰될 가능성이 높은 재매각 보다는 실사 뒤 경영권 프리미엄을 붙여 박 회장과 직접 매각을 추진하겠다는 취지다.

금호산업 채권금융기관 운영위원회는 7일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본점에서 52개 채권단이 모인 가운데 전체 회의를 열고 △진행 상황 발표 △수의계약 추진 여부 논의 등을 진행했다.

이날 회의에서 그동안 금호산업 매각 성공을 위한 마케팅 방안과 인수 적격자 모색 과정 등도 공개됐다.

채권단은 앞서 지난달 28일 금호산업 지분 57.1%에 대한 본입찰을 진행했으나 호반건설 한 곳만이 참여, 응찰액도 6007억원에 그쳐 이달 6일 서면결의를 통해 호반건설에 대한 금호산업 매각 본입찰 최종 유찰을 확정했다.

6개 채권단 중 우리은행을 제외한 전원이 매각가 6007억원을 제시한 호반건설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는 데 반대한 결과로 금호산업의 가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채권단은 이르면 8일 수의계약 안건을 부의하고 오는 18일까지 채권단의 의견을 수렴해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채권단 전체의 75%가 동의하면 박 회장과의 직접 매각 협상이 추진되며 부결되면 재입찰 절차에 돌입한다. 채권단 비율은 미래에셋 14.7%, 산업은행 7.6%, 농협 7.0%, 대우증권 6.7%, 국민은행 2.7%, 우리은행 1.4% 등이다.

수의계약이 진행되면 채권단과 박 회장 측은 기업가치와 경영권 프리미엄 등을 산정해 가격 협상을 진행하게 된다. 이후 채권단이 최종 행사가격을 통지하면 박 회장은 우선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지 여부를 결정한다.

즉 채권단이 제시한 가격을 박 회장이 받아들여 8월 중 우선매수청구권을 행사하면 계약이 성사된다. 위원회는 늦어도 11월이면 거래를 마무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채권단은 1조원에 가까운 금액을 받아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지만 박 회장은 호반건설의 응찰액에 가까운 금액을 제시할 가능성이 높아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한편 박 회장이 거부하면 채권단은 6개월간 호반건설을 포함해 제3자 매각을 추진할 수 있다. 이 기간 박 회장의 우선매수청구권은 효력을 상실하며, 채권단이 6개월 안에 매각에 성공하지 못하면 다시 살아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