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단, "호반건설 금호산업 응찰액 6007억 기대 이하"…박삼구 회장, 득실은?

입력 2015-04-28 21:2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금호산업 채권단이 호반건설이 28일 금호산업 본입찰에 제시한 6007억원 입찰가에 대해 기대 이하로 평가했다. 금호산업 매각 주관사인 산업은행은 28일 저녁 채권단 운영위원회를 열고 본입찰에 단독으로 참여한 호반건설을 우선협상 대상으로 선정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향후 유찰 및 재입찰 여부는 채권금융기관협의회 결의를 통해 확정된다. 최종 유찰 여부는 다음달 5일 이후 열릴 예정인 채권단 전체회의에서 결정된다.

이날 오후 마감된 금호산업 매각 본입찰에는 호반건설이 단독으로 제안서를 제출했다. 호반건설은 금호산업 워크아웃 과정에서 출자전환 등을 통해 보유하게 된 57.5%(약 1955만주)의 지분에 대한 가격으로 6007억원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채권단은 당초 예상치보다 낮아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하지 않았다. 앞서 채권단이 제시한 적정 매각가격은 9000억원+α로 1조원을 조금 밑도는 수준이다. 당초 채권단 내부에선 김상열 호반건설 회장이 보수적 베팅을 할 경우 유찰시킬 가능성이 높게 점쳐졌다. 이에 다시 매각 작업을 잠정 연기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 경우 우선매수청구권을 가진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 측이 반발이 예상된다. 채권단이 다시 공개 매각에 나설 경우 입찰 희망 기업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채권단이 박 회장 측에 호반건설 입찰가보다 높은 가격을 제시할 수 있는지 여부를 묻는 협상을 전개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때는 채권단과 박 회장이 의견 일치를 보면 수의계약 형태로 매각을 진행할 수 있다.

금호산업은 아시아나항공의 최대주주(30.08%)이고, 아시아나항공은 금호터미널·아시아나에어포트·아시아나IDT 주식 100%를 보유하는 등 금호아시아나그룹 전체 지배구조가 맞물려 있어 박 회장으로서는 사활을 걸 수밖에 없다.

한편 채권단의 재입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경우 입찰 과정이 반복되고 사모펀드와 대기업이 응찰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산업은행은 "재입찰과 유찰 여부는 채권금융기관협의회의 결의를 통해 확정하게 된다"며 "구체적인 일정은 매각 주간사와 협의해서 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