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성호 이익은 ‘성호사설’(星湖僿說) 만물문(萬物門)에서 이렇게 말했다. “나무 중에 속명 아해화(鵝孩花)라는 게 있다. 누런 꽃은 거위 새끼의 털처럼 보들보들하고 향기는 생강과 흡사한데, 뭔지 잘 모르겠다. 양 원제(梁元帝)의 ‘찬요’(纂要)에 스물네 번 부는 화신풍은 아아화(鵝兒花) 필 적에 시작해 연화(楝花) 필 적에 끝난다고 했다. (중략) 아아화가 이 꽃인 듯하다.”
이익의 설명이 이어진다. “또 ‘오잡조’(五雜爼)에 상고하니 소한 이후 입하 이전은 한 절후에 세 차례씩 화신풍이 부는데, 매화ㆍ산다(山茶)ㆍ수선ㆍ서향(瑞香)ㆍ난화(蘭花)ㆍ산반(山礬)ㆍ영춘(迎春)ㆍ앵도(櫻桃)ㆍ망춘(望春)ㆍ채화(菜花)ㆍ행화(杏花)ㆍ이화(李花)ㆍ도화(桃花)ㆍ체당(棣棠)ㆍ장미ㆍ해당(海棠)ㆍ이화(梨花)ㆍ목란(木蘭)ㆍ동화(桐花)ㆍ맥화(麥花)ㆍ유화(柳花)ㆍ목단(牧丹)ㆍ도미(酴釄)ㆍ연화(楝花), 이 스물네 가지 꽃이 핀다고 하였다. 아아화는 이 중에 들지 않았으니 맥화와 같은 시기에 피는 까닭에 그렇게 된 것 같다.”
‘오잡조’는 명(明)의 사조제(謝肇淛)가 천(天)ㆍ지(地)ㆍ인(人)ㆍ물(物)ㆍ사(事) 등 다섯 가지를 유형별로 적은 잡기(雜記)다. 이십사번화신풍이라는 말은 사조제보다 전에 북송(北宋)의 주휘(周煇)가 ‘청파잡지’(淸波雜志)에 썼다. 바람 이름이 모두 운치가 있다.
이런 바람에 끼지 못하지만 꼭 알아두어야 할 게 바로 꽃샘바람, 투화풍(妬花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