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정부 테마주 50% 폭등…MB테마주 두자릿수 폭락

입력 2015-04-15 06:34수정 2015-04-15 06:3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최근 2년간 전·현 정권 테마주의 희비가 극명하게 엇갈린 것으로 나타났다.

박근혜 정부의 대표적 미래 성장산업인 바이오시밀러·헬스케어 테마주는 50% 넘게 급등한 반면, 풍력에너지·LED 등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 테마주는 두자릿수 하락률로 곤두박질쳤다.

코스피가 마침내 박스권 상단인 2,100선을 돌파한 가운데 코스피 테마주의 상승률은 평균보다 높았다.

37개 테마 중 40%는 주가와 실적의 흐름이 일치하지 않아 '따로 노는' 경향도 분석됐다.

15일 기업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2012년 말부터 2015년 4월 13일까지 2년4개월여 동안 국내 증시에서 37개 테마주로 분류된 337개 기업의 실적과 주가 추이를 조사한 결과 이들 테마주 주가는 평균 15.6%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코스피 테마주의 평균 주가 상승률은 13.6%로 코스피지수 상승률의 4배 이상을 상회한 반면 코스닥 테마주(17.1%)는 코스닥지수보다 상승률이 약간 낮았다.

2012년 말부터 지난 13일까지 코스피지수는 1천977.1에서 2천98.9로 101.8포인트(2.5%) 높아졌고, 코스닥지수는 496.3에서 689.4로 193.1포인트(17.9%) 상승했다.

37개 테마 중 29개는 주가가 상승했고, 8개만 떨어졌다. 테마주는 코스피 상장사가 143곳이고, 코스닥 194곳이다.

평균 주가 상승률 1, 2위 테마는 박근혜 정부가 신성장 동력으로 적극 지원하는 바이오시밀러와 헬스케어다. 이들 테마의 평균 주가 상승률은 각각 56.5%와 50.5%에 달했다.

정부는 2010년 바이오시밀러 육성책에 이어 지난 3월 바이오와 헬스케어 분야 미래 육성전략을 추가로 발표했다.

바이오시밀러 테마에는 7개 주요 종목이 포함됐다.

팜스웰바이오(159.7%), 제넥신(91.9%), 셀트리온(82.5%), 한미약품(52%), 이수앱지스(29.8%)의 주가가 큰 폭으로 올랐다. 슈넬생명과학(-4.1%)과 한올바이오파마(-16.4%)는 뒷걸음쳤다.

헬스케어 테마주는 21개 종목 중 주가가 배 이상 뛴 곳이 셀루메드(170.3%), 루트로닉(163.9%), 진원생명과학(162.9%), 인바디(140%) 등 4개나 됐다.

메타바이오메드(59.4%)·세운메디칼(54.4%)·인성정보(51.9%)·바텍(50.9%)도 주가가 50% 이상 뛰었다. 반면 바이오니아는 헬스케어 테마주로는 유일하게 주가가 3.8% 떨어졌다.

이어 게임(37.4%), 주류(35.8%), 전자결제(35.7%), 자전거(33.9%) 등의 테마가 평균 30% 이상 올랐고 근거리무선통신(NFC·27.8%), 농업(27.7%), 카지노(27.5%), 패션(25.5%) 순으로 '톱10'에 들었다.

반면 MB정부의 녹색성장을 대표하는 풍력에너지(-18%)와 LED(-11.7%)는 주가 하락폭이 가장 컸다.

풍력에너지 테마주 7개 종목 중 용현BM(-48.2%)·유니슨(-34.2%)·현진소재(-27.5%)·현대중공업(-22.1%)·태웅(-7%)·한일단조(-5.5%) 등 6곳의 주가가 하락했고 동국S&C만 유일하게 18.8% 상승했다.

LED 테마도 11개 종목 중 LG이노텍(16.9%)과 금호전기(0.3%)만 상승했고 나머지 종목은 전부 4∼42% 하락했다.

이어 자동차대표주(-6.9%), PCB생산(-5.3%), 플렉시블디스플레이(-4%), 스마트폰부품(-3.9%), 보험(-1.4%), 2차전지(-0.7%) 순으로 하락률이 컸다.

37개 테마 중 15개(40.5%)는 2013년과 2014년 2년간 영업실적과 주가 방향성이 일치하지 않았다.

바이오시밀러 테마는 주가 상승률이 가장 높았지만 평균 영업이익 증가율은 -6.9%로 대조를 이뤘다.

이어 NFC, 제지, 백화점, 전선, 위치기반서비스(LBS), 여행·관광, 수산, 물류, 금, 정보보안, 방위산업 등의 테마도 영업이익 증가율은 떨어졌지만, 주가는 반대로 상승했다.

2차전지와 스마트폰부품, 풍력에너지 테마는 반대로 영업이익 평균 증가율이 9∼43%였지만 주가는 오히려 0.7∼18% 하락했다.

테마주 337개 중 2년여간 주가 상승률이 가장 높은 종목은 한빛소프트(게임)로 1천555원에서 1만2천250원으로 180.7% 급등했다.

이어 셀루메드(헬스케어·170.3%), 인디에프(패션·167.8%), 루트로닉(헬스케어·163.9%), 진원생명과학(헬스케어·162.9%), 팜스웰바이오(바이오시밀러·159.7%), 인바디(헬스케어·140%), 에듀박스(교육·136.6%), 나이스정보통신(NFC·130.9%), 플레이위드(게임·128.6%)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오성엘에스티(태양광·-59.2%), 멜파스(스마트폰부품·-54.1%), 이엘케이(스마트폰부품·-51.8%), 와이즈파워(2차전지·-50.2%) 등은 주가가 반토막 밑으로 떨어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