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산업단지 맞춤형 인재 육성에 속도

입력 2015-04-07 08:46수정 2015-04-07 13:1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교육부 고용부 등 범부처 산업단지별 맞춤형 인력양성 추진계획 국무회의서 보고

정부가 전문인재 양성을 위한 직업교육 강화를 위해 오는 2017년까지 전국 41개 산업단지 내 기업과 인근 학교를 연계해 맞춤형 인재를 양성한다.

교육부는 체계적인 인력양성 및 채용 확산을 위해 산업단지별 맞춤형 인력양성 추진 계획을 7일 국무회의에 보고했다고 밝혔다.

이날 보고된 계획의 주요 내용은 △산업단지 중심 맞춤형 인력양성 체계 구축△일자리 조사 분석 및 일자리 연계 △산학일체형 교육 등 현장중심 교육 강화 △산업단지 탐방 및 진로체험처 제공 △근로자 경력개발 활성화 등이 담겼다.

먼저 올해 고용 유발효과가 큰 10개 국가산업단지(서울, 남동, 반월시화, 구미, 대구, 창원, 녹산, 울산, 광주, 군산)부터 산업단지별 맞춤형 인력양성 체계 구축이 진행된다. 이어 2016년에는 21개 국가산업단지, 2017년에는 전국 41개 모든 국가산업단지로 확대할 예정이다. 올해에는 우선 고교 단계인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에서 우선 연계하고, 내년부터는 전문대학, 대학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산업단지별 기업과 학교 간 인력양성 사업을 추진하고자 산업단지별로 산업계, 교육계 주요기관 관계자가 참여하는 인력양성 협의체를 구성ㆍ운영한다. 한국산업단지공단 본부와 지역본부 내에 ‘인력양성지원센터’라는 전담기구를 설치하고, 전담 인력도 배치할 예정이다.

정부는 일자리 조사 분석을 통한 일자리 연계방안도 추진한다. 학교와 시도교육청이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인력수요 기반으로 학과ㆍ전공을 개편하고 정원을 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기반으로 직종, 직무분야, 직무수준 등으로 세분화해 산업단지 내 기업의 인력수요 조사를 추진한다.

도제교육 등 현장중심 교육 강화하고자 정부는 산업단지 내 입주 기업을 대상으로 산학일체형 교육, 채용약정 기업맞춤반 등 정부의 산학연계 인력양성 지원 사업을 적극 홍보해 참여 기업을 발굴할 계획이다. 또 기업이 참여해 기업이 원하는 우수인재 양성 사례를 창출함으로써 산업단지 내 기업이 학교교육에 현장을 개방하고 산학일체형 교육에 전면 참여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이밖에 정부는 고교 졸업 후 산업단지 내 입주기업 취업자가 지속적인 경력을 개발할 수 있게 산업단지 내 캠퍼스를 올해 21개까지 확대한다. 여기에 고교 졸업 후 중소기업 재직자에 대해 국외 학위 과정이나 해외 산업체 연수기회를 제공하고 후진학자가 일과 학습을 병행할 수 있도록 장학금 지원도 이뤄질 전망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