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전자파 인체노출' 연구모델 개발

입력 2006-12-12 09:5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는 전자파 노출 평가용 ‘한국인 어린이 전신모델’ 개발에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ETRI 전자파환경연구팀은 정보통신부 정보통신표준화 사업의 일환으로 ‘전자파 영향 및 표준화 연구’를 수행, 국내에서 최초로 전자파 노출량 평가를 위한 ‘모델’을 개발, 어린이의 전자파 노출에 대해 과학적으로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게 됐다.

일반적으로 전자파는 각종 가전기기 및 안테나를 이용해 송신하는 모든 기기에서 발생될 수 있고 기지국과 고압선 등 주변 거주민들의 끊임없는 민원의 대상이 돼 왔다.

이번 ETRI가 수행한 ‘어린이 전신모델’은 국내 어린이 남자 7세를 대상으로 MRI 기반으로 피부, 혈액, 내장기관 등 신체 각 부위를 세밀한 생체조직까지 재현한 방대한 인체 DB로 고정밀 2차원 단면영상 및 3차원 입체영상으로 시각화시킬 수 있다.

전자파 노출 환경에 대해서는 실제로 인체를 대상으로 노출 평가나 인체 내 전자파 흡수율을 평가할 수 없기 때문에 ETRI의 연구개발은 현실에서 불가능한 전자파 노출에 대한 인체실험을 사이버 상에서 해결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ETRI 전자파환경연구팀의 최형도 팀장은 “어린이는 신체 외형 및 내부 기관의 성장 속도가 매우 복잡해 성인의 선형적 축소판이 아니기 때문에 이번 어린이 모델 개발은 더욱 중요한 성과”라고 설명했다.

‘어린이 전신모델’은 ETRI에서 아주대 해부학교실 정민석 교수팀과 공동으로 한국인 어린이(키 110cm, 체중 23kg)를 촬영한 384여장의 전신 MRI를 바탕으로 구축됐다.

또한 어린이 전신을 3mm 간격으로 MRI 촬영한 뒤, 각 영상 단면에서 가로, 세로 1mm 간격으로 피부, 근육, 지방, 신경 등의 생체조직과 뇌, 심장, 간, 폐, 신장 등의 신체기관 등 모두 30여 가지의 해부학적 조직으로 구분해 고해상도 3차원 영상 자료로 재생 가능한 가상 어린이 모델을 개발했다.

ETRI는 "이번 어린이 전신모델의 구축은 어린이의 전자파 노출에 대한 국민들의 우려와 이에 대한 국가 차원의 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객관적 해답을 얻는데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 관련기술을 대학이나 연구기관, 제조업체 등에게 적극적인 기술이전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