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인상 우려와 저유가 등 여파로 신흥국 경제가 흔들리면서 한국의 수출에도 먹구름이 끼고 있다.
30일 통계청과 관세청 등에 따르면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 분류한 신흥국 18곳에 대한 1∼2월 한국의 수출액은 366억7594만달러로 지난해 1∼2월의 390억9854만달러보다 6.2%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체 수출액이 884만7136만달러에서 866만5494만달러로 2.1% 줄어든 것을 감안한다면 신흥국 수출액 감소 폭이 3배나 높은 것이다.
연간으로 비교해도 신흥국 수출 실적은 퇴조기를 보이고 있다.
실제로 한국의 전체 수출액은 지난 2013년 5559억6324만달러에서 2014년 5726억6460만달러로 1년새 2.3% 늘었다. 반면 같은 기간 신흥국 수출액은 2523억2105만달러에서 2513억5937만달러로 0.4% 감소했다.
특히 베네수엘라(-46.7%)와 아르헨티나(-29.9%), 리비아(-16.1%), 칠레(-15.3%) 등 경제기반이 불안한 신흥국은 두자리 수의 감소율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신흥국이 한국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점차 줄고 있다. 전체 수출액 중 신흥국 수출액의 비율은 2013년 45.1%에서 2014년 43.9%로 1.2%포인트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대(對) 신흥국 수출이 약해진 것은 미국 금리 인상이 연내로 예고되면서 자본유출의 우려 탓에 신흥국 경기가 악화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또한 저유가 영향으로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등 15개 산유국에 대한 올해 1∼2월 수출액 실적도 전년대비 4.4% 감소하면서 당분한 한국의 수출은 감소할 수 밖에 없는 여건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