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NCS채용] NCS와 능력중심 채용 일문일답

입력 2015-03-24 1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연내 130개 공공기관이 서류전형, 필기, 면접의 채용 과정 중 서류전형과 면접에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기초로 채용한다.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 교육부 등 정부와 130개 공공기관은 24일 오후 3시 서울지방조달청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직무능력중심 채용 MOU 체결식’을 가졌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채용 방안에 대해 일문일답으로 정리했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이란.

▲NCS는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ㆍ기술ㆍ소양 등의 내용을 국가가 산업부문별ㆍ수준별로 체계화한 것이다.

-능력중심채용이란.

▲불필요한 스펙이 아니라 해당 직무에 맞는 스펙을 갖춘 인재를 NCS기반의 평가툴을 활용해 선발하는 채용방식이다. NCS기반 직무기술서를 사전에 공개하고 직무능력 기반 지원서 중심의 서류전형, 채용기준에 따른 직무능력평가(필기, 면접)의 세 단계에 걸쳐 구현된다.

-NCS를 활용한 채용을 하면 좋은 점은.

▲직무 수행에 꼭 필요한 스펙을 쌓을 수 있어 학점, 어학, 자격증 등 불필요한 스펙을 취득하는데 드는 시간과 금전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인사담당자 역시 채용 후 바로 현장에 투입할 수 있어 재교육에 들어가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NCS의 적용 대상 기관은.

▲정부는 우선 300개 공공기관 중 연내 130개 공공기관부터 직무능력 중심의 채용을 추진하기로 했다. 30개 기관은 취업 지원자의 직무수행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NCS 기반 능력중심 채용 모델을 이미 도입했거나 올해 중 도입한다.

-130개 기관은 곧바로 시행에 들어가나.

▲NCS 채용모델을 이미 도입한 산업인력공단 등 30개 공공기관은 올해 직무능력중심의 채용공고문, 서류ㆍ면접 전형 등을 통해 NCS에 기반을 둔 채용을 진행한다. 한국전력공사, 한국도로공사 등 나머지 100개 공공기관은 올해 상반기 중 채용모델을 설계한 뒤 하반기 중 직무능력 중심의 서류ㆍ면접 전형을 진행할 계획이다. 전공필기시험의 경우 구직자의 준비기간을 고려해 130개 기관 중 30개 기관은 2016년 하반기, 100개 기관은 2017년 상반기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어떻게 채용을 하나.

▲공공기관은 NCS를 토대로 한 채용 기준을 홈페이지 등을 통해 사전에 공개한다. 이후 직무능력에 기반을 둔 서류전형, 필기, 면접 등을 진행한다. 정부와 공공기관들이 취업준비 매뉴얼, 면접, 문제 샘플 등의 자료를 NCS 포털에 제공하고 각 학교에 직접 배포할 예정이다.

-토익점수나 자격증 등은 이제 필요 없어지나.

▲기존의 스펙이 모두 무용지물이 되는 것은 아니다. NCS 기반 채용의 취지는 직무 수행에 부합하는 능력을 갖춘 인재 선발에 있다. 토익점수나 한국어능력, 자격증 등은 직업기초능력을 평가하는 척도로 활용될 수도 있다.

-취업준비생 입장에서 달라진 게 뭔가.

▲그동안 토익점수, 해외연수 경험 등 스펙은 기본적인 소양을 갖추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활용되는데 그치지 않고 당락을 결정짓기도 했다. 이제는 실제 직무수행에 요구되는 능력이 훨씬 중요해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