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ㆍ부패 사정… 재계 전반으로 확산

입력 2015-03-17 09:18수정 2015-03-17 10: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포스코건설에서 시작된 부정ㆍ부패 사정 수사가 재계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특히 검찰의 칼날이 대기업 총수 일가를 정조준하고 있어 재계는 긴장감을 감추지 못하는 표정이 역력하다.

17일 재계와 법조계에 따르면 검찰은 포스코그룹과 함께 그동안 비자금 관련 수사선상에 올라있던 동부, 신세계 등 다른 그룹들의 비리 의혹을 캐고 있다. 더불어 김진태 검찰총장이 담합 혐의로 SK건설에 대한 첫 고발권을 행사하는 등, 기업을 향한 칼끝은 과거와 다른 양상으로 번뜩이고 있다.

재계 한 고위 관계자는 “특정 기업에 대한 검찰의 내사설은 (이번 정부들어) 계속 있어왔다”면서 “정부가 부정부패 척결을 선언한 만큼 한꺼번에 시작된 기업 비리 의혹 수사의 불똥이 튈지 몰라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포스코 비리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는 조만간 정동화 전 포스코건설 부회장을 소환해 조사할 방침이다.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의 2인자로 불렸던 정 전 부회장은 포스코건설 비자금 조성 시기에 이 회사의 사장으로 재직했다.

동부그룹에 대한 검찰의 강도 높은 수사도 예상된다. 타깃은 김준기 회장이다.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세조사부는 김 회장이 계열사들로부터 수 백억원을 횡령한 정황을 포착하고 수사 중이다. 검찰은 이 돈이 김 회장의 두 자녀에게 흘러들어간 것으로 보고 계좌를 추적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는 지난해부터 시작한 금호아시아나그룹 박삼구 회장의 비자금 조성 의혹에 대한 수사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이번 대기업 사정의 본질은 결국 전 정권을 겨냥한 것이라고 관측하고 있다. 검찰은 정준양 전 회장이 재임 시절 추진한 계열사 인수ㆍ합병(M&A)과 이명박 정부 실세들의 연관성을 캐고 있다. 정 전 회장은 약 5조원에 달하는 자금을 M&A에 투입했다.

검찰은 또 전두환 전 대통령의 사돈 기업인 동아원에 대해 주가조작 혐의로 수사에 착수했다. 서울남부지검 금융조사1부는 동아원 자사주 매각과 관련해 주가를 조작한 혐의로 브로커 김모씨를 최근 구속했다. 동아원은 전 전 대통령의 3남 재만씨의 장인인 이희상 회장이 대표이사로 재직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