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ㆍ미 FTA 발효 3년…미국 수입시장 점유율 3% 육박

입력 2015-03-12 14:2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난해 교역 1156억달러로…전년보다 11.6%↑

한ㆍ미 자유무역협정(FTA)이 15일로 발효된 지 3주년을 맞는다. 한ㆍ미 FTA 3년차에 들어선 지난해는 미국과의 교역규모가 늘어나며 우리의 미국 수입시장 점유율도 3%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한미 FTA 발효 3년차인 지난해 한국과 미국의 교역규모는 1156억 달러로 2013년보다 11.6% 증가했다. FTA 관세 혜택 품목의 교역규모는 전년보다 6.7% 증가했고 비혜택품목은 15.6% 늘었다.

지난해 한미 FTA 수출 활용률은 76.2%로 그동안 발효된 FTA의 전체 수출 활용률 69.0%보다 높은 편이다.

미국에 대한 수출은 703억 달러로 전년대비 13.3% 늘었다. 혜택품목(4.3%)과 비혜택품목(19.0%)이 모두 증가한 영향이다. FTA 혜택품목인 자동차부품의 수출은 7.2%로 호조를 보였으나, 석유제품은 미국 내 셰일가스 개발 등으로 인해 전년대비 12.6% 줄었다. 비혜택품목은 미국의 경기회복세에 따라 완성품 소비재인 자동차(20.2%)와 무선통신기기(9.9%)등의 수요가 급속히 증가했다.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은 FTA 혜택품목이 9.0%, 비혜택품목 9.1%로 고루 늘며 2013년보다 9.1% 증가했다. FTA혜택품목은 미국내 옥수수 작황의 회복과 함께 사료 등 식물성물질의 수입이 136.3% 증가했고, 곡실류도 8.6% 늘었다. 비혜택품목의 경우 미국 반도체제조용 장비의 수입이 29.3% 증가했다.

한미 FTA발효 3년차 미국의 한국에 대한 직접투자는 전년대비 2.4%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은 전년대비 55.6% 줄었지만 서비스업은 27.6% 증가했다. 제조업에선 금속제조업(916.2%), 화공(433.5%) 등의 업종에서 투자유치가 증가했지만 섬유·직물(-94.8%), 전기·전자(-35.3%) 업종에선 감소했다. 비즈니스 서비스(253.9%) 등 서비스업의 투자는 지속적으로 증가세 유지하고 있다.

한국 수출품이 미국 수입시장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은 2012년 2.59%에서 2013년 2.75%, 2014년 2.97%로 점차 상승해 3%에 육박했다. 미국시장을 놓고 우리 수출품과 경합하는 일본은 엔화 약세에도 미국 시장 내 점유율이 2012년 6.43%에서 작년엔 5.71%로 떨어진 것과 대조적이다.

산업부는 한ㆍ미 FTA 효과를 높이기 위해 중소기업에 대한 FTA 활용지원정책을 현장 맞춤형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미활용기업에 대한 활용을 안내하고 ‘찾아가는 FTA 서비스’ 등을 통해 중소·중견기업의 FTA활용률을 작년말 59%에서 올해안으로 65%로 높이기로 했다.

또 농수산식품 특화 원산지관리 시스템을 보급해농수산 식품의 FTA 활용을 늘리고 주요 수출국별 원산지 기준에 맞는 신제품 연구개발(R&D)도 지원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