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금융업 뭔가 고장났다”…과감한 구조개혁 촉구

입력 2015-03-04 12:4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4일 “금융업이 뭔가 고장났다”고 질타하며 과감한 구조개혁을 촉구했다.

최경환 부총리는 이날 오전 서울 을지로 은행연합회관에서 열린 국가경영전략연구원 수요포럼에서 ‘2015년 한국경제의 진로’를 주제로 강연을 하며 금융 부문에 대해 고장났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경제가 발전하면 금융업권의 국내총생산(GDP) 비율이 늘어야 하는데 지금 금융업 취업자는 급감하고 있고 GDP 비중도 5%대에 주저앉았다”며 “과거 목표는 10% 정도로 올리겠다고 했는데 올리기는커녕 뒷걸음치고 있다”고 우려했다.

GDP에서 금융 및 보험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0년째 5~6%대에 머무르고 있다. 2000년 5.8%에서 2003년 7%가 넘었던 점을 감안하면 정체돼 있는 셈이다. 지난해 GDP에서 금융업이 차지하는 부가가치 비중은 5.4%에 그쳤다.

최 부총리는 부가가치, 일자리, 세수 등에서 금융업이 제대로 경제에 기여하지 못한다고 봤다.

부가가치 창출여력이 감소해 일자리가 줄고 수익감소와 자본시장 위축으로 세수 확대에도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예대마진과 거래수수료에 의존해온 은행과 증권업종을 중심으로 저금리 기조에 따른 이자마진 축소, 부실기업 대손비용 증가, 주식 거래 둔화 등으로 수익성이 나빠지면서 세수 결손도 커졌다.

증권거래세 징수실적을 보면 2011년 4조3000억원에서 2012년 3조7000억원, 2013년 3조1000억원으로 줄었다. 작년에도 징수액은 3조1000억원에 머물렀다.

최 부총리는 지난 1997년 금융정책과 감독기능 분리, 금융업권 칸막이 제거 등을 주도하며 1년동안 금융개혁을 주도한 금융개혁위원회 수준의 과감한 구조개혁을 당부했다.

그는 “외환위기 전 금융개혁위원회가 한 정도의 과감한 구조개혁을 추진하지 않으면 역동성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