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손해보험협회, 보험개발원 등 보험 유관기관 단체장들이 임기 후 '공로금' 명목으로 수억원대의 '전별금'을 받아온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되고 있다. 전별금을 충당하는 협회 운영비는 전적으로 회원사들이 제공하기 때문에 방만경영이 도를 지나쳤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금융당국은 이를 놓고 협회의 운영비는 업계가 판단해야 할 문제로 개입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금융협회장이나 부회장 등에 대한 업계의 퇴직금 및 공오금 지급 사실을 파악하고 있지만 별다른 조치는 없는 상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각 업계의 협회장 등에 대한 별전금 등은 회원사들이 판단해서 해야하는 일"이라며 "이것마져 당국이 개입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앞서 지난 2008년에서 2011년까지 생명보험협회장을 지낸 이우철 전 회장은 퇴직금과 별도로 업계로 부터 3억5000여만원의 전별금을 받았다. 앞서 남궁훈 전 생보협회장도 2005~2008년 임기 이후 2억2000여만원을 받았다.
2010∼2013년 회장을 지낸 문재우 전 손해보험협회장과 2007~2010년 회장을 지낸 이상용 전 회장도 업계로 부터 퇴직금과 별도로 2억~3억원을 받아갔다.
생보협회는 공로금을 없애는 대신 퇴직금을 기존의 3.5배로 늘려 작년 12월 임기가 끝난 김규복 전 회장에게 3억여원을 지급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지나치게 많은 연봉이나 퇴직금이 지급됐다면 문제 제기가 있지 않았겠느냐"며 "회장, 부회장 역할에 대한 평가는 업계 몫"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협회장 자리를 관료출신들이 차지했기 때문에 금융당국에서도 별다른 관여를 할 수 없었던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A보험사 고위 관계자는 "회원사들 역시 협회장들이 그동안 해온 공로를 인정해 전별금을 지급하는 것은 뒷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며 "당국 역시 전별금의 지급 내용 등을 다 파악하고 있지만 전관예우 차원에서 쉬쉬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세월호 사건 이후 협회장 자리에 민간 출신이 오르긴 했지만, 최근까지도 대부분 전직 경제 관료이거나 부회장은 금감원 출신들로 포진돼 왔다. 실제로 이우철 전 생보협회장과 남궁훈 전 생보협회장은 '모피아'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