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부·문구 중기적합업종 지정에… 풀무원ㆍCJ ‘울상’, 대형마트 ‘당황’

입력 2015-02-25 07: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두부 제조사 ‘사업전략 전면 수정’… 마트3사 ‘형평성 어긋, 실익도 없어’

두부가 중소기업 적합업종 품목으로 재지정되면서 CJ와 풀무원 등 대형 제조업체들이 울상을 짓고 있다. 대형마트들 역시 문구소매업의 중소기업 적합업종 신규 지정에 당황스러운 표정이 역력하다.

동반성장위원회는 24일 제33차 동반성장위원회를 열고 두부를 올해 중기적합업종으로 재지정하고, 문구소매업은 새롭게 추가 지정했다.

이에 따라, 대기업은 포장 두부 시장에서의 중소기업의 역할을 점차 늘여가기 위해 추가 시장은 현 수준 내에서 확장을 자제해야한다. 또 대기업은 비포장 두부시장 진입이 어렵게 됐으며 포장용 대형 판두부 시장에서는 철수하게됐다.

풀무원과 CJ 등 두부 제조사들은 현재 300억~400억원 수준에 불과한 가공두부 시장이 2016년 1000억원 규모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고 투자를 집중했다. 그러나 더 이상의 사업 확대가 불가능해지면서 사업 전략을 전면 재검토해야하는 상황이다. 더불어 두부 사업을 추진해왔던 아워홈은 시장 진출의 기회를 잃게 됐다.

다만, 국산콩을 사용한 제품은 이번 결정에서 제외시켜 콩 생산 농가는 숨통이 트일 것으로 전망된다.

한 두부 제조사 관계자는 “중기적합업종으로 연장된 것이기 때문에 사업의 큰 방향은 변함이 없겠지만, 국산공 사용제품이 제외된 만큼 전체 사업 전략은 수정이 불가피하다”며 “국산콩을 활용한 건강 마케팅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문구 판매 신규사업 진출에 제동이 걸린 대형마트들은 “도소매 문구유통점을 제외하고 마트만 규제를 강화한 것은 형평성에 어긋나며 실익이 있는 조치인지 모르겠다”며 불만의 목소리를 높였다.

중소 문구 자영업자에게 마트보다 더 큰 위협이 되는 것은 대형 문구 전문 소매점인데 이들에 대한 규제 없이 마트만 규제하는 것은 실익이 없다는 것이 대형마트 3사들의 주장이다.

대형마트들은 당장 사업을 축소해야 하는 상황이다. 문구 매장을 축소하고 신학기 학용 문구 할인행사도 자제해야 한다. 한 마트 관계자는 “문구 시장이 이미 대형 문구전문 소매점 위주로 재편된 상황에서 마트만 규제하면 피해를 보는 것은 마트에 문구를 납품하는 중소업체와 소비자들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