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산업 인수전]IBK펀드, 금호고속 최종 매각제안서 제출…"제값 받겠다"

입력 2015-02-23 15:47수정 2015-02-23 15:5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금호고속 매각 작업이 본격화됐다. 금호고속 경영권을 보유한 IBK투자증권-케이스톤파트너스 사모펀드(이하 IBK펀드)가 23일 금호그룹에 최종 매각 제안서를 제출했다.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사진> 입장에선 지난 5년간 공중분해됐던 그룹의 재건을 위해 본게임이 시작된 셈이다. 금호고속 인수전은 금호그룹 지배구조의 핵심인 금호산업 인수를 앞둔 전초전이다.

23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IBK펀드는 이날 오전 금호그룹에 금호고속 기업 가치 등을 고려한 매각가가 담긴 최종 매각 제안 공문을 보냈다. 공문을 접수한 금호그룹은 이날부터 2주 안에 인수 의향 여부를 IBK펀드에 전달해야 한다.

IBK펀드가 제시한 최종 매각 제안서에서 매각과 관련한 다른 옵션 없이 금호고속의 기업 가치 등을 고려한 매각가격만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최종 매각가격은 5000억 원 안팎에서 결정될 것으로 전해졌다. IBK펀드 입장에선 금호고속을 되팔아 5000억원대의 자금을 회수해야 투자자의 수익률을 보전할 수 있다. 앞서 IBK펀드는 금호고속 인수 적정가격을 놓고 박 회장과 협상 결렬 시 매각을 하반기로 넘길 수 있다는 강경책을 제시했다. 사실상 박 회장의 금호고속 지분 100%에 대한 우선매수청구권한 소멸을 볼모로 반드시 제값을 받겠다는 의지다. 박 회장이 산정한 금호고속의 적정 매각가는 2000억원 수준이다.

IBK펀드는 내달 9일까지 박 회장이 이날 제시한 금호고속 매각 조건을 받아들이지 않고 우선매수청구권 행사를 포기하면 곧바로 공개 매각이나 수의계약 방식으로 금호고속 매각을 추진할 예정이다. IBK펀드 관계자는 “금호고속 매각을 반드시 상반기 중에 완료하겠다는 구상을 갖고 있지 않다”며 “무엇보다 적정한 매각가격이 중요한 만큼 하반기로 매각 일정을 미룰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2012년 8월 금호고속 지분 100%를 인수할 당시 가격이 3300억원인 점을 고려하면 5000억원대의 자금을 회수해야 투자자의 수익률을 보전할 수 있어 반드시 이 선에서 매각가격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에 금호그룹은 “IBK펀드가 금호고속을 인수할 당시 손해를 안 보고 수익률을 맞춰 주겠다고 했다. 현재 적정 수익률을 운운하고 있지만 과하게 이익을 취하려는 속내가 보인다”고 지적했다. 앞서 금호그룹은 “IBK펀드가 기업조정 기업의 재무구조 개선과 경영정상화를 목적으로 설립됐음에도 수익 실현을 위해 무리하게 매각을 진행하고 있다”며 공개적으로 비난한 바 있다.

금호그룹 관계자는 "금호산업과 금호고속을 모두 인수하겠다는 입장은 변함없으며 인수자금도 차질없이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일각에서는 IBK펀드가 높은 가격을 제시하면 공개경쟁 입찰에 부쳐지더라도, 인수전에 나설 투자자가 없어 매각 자체가 실패로 돌아갈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이 경우 박 회장이 우선매수청구권한을 포기하더라도 금호그룹이 다시 인수 기회를 얻게 된다. 당초 박 회장은 금호그룹의 지주회사 격인 금호산업을 올 상반기에 인수한 후 하반기 자산 유동화를 통해 금호고속을 인수할 계획이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