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목에 힘 빠지고 손저림 잦으면 수근관 증후군 의심

입력 2015-02-23 09:1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집안일 많은 주부들에게 주로 발병…손목 사용 최소화해야

주부 김모씨(53)는 평소 손이 자주 저렸지만 단순 혈액순환 장애로 생각하고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그런데 얼마 전 명절 때 분주하게 음식 장만을 하고 뒷정리를 하다가 행주의 물기를 짜는데 손목에 힘이 들어가지 않았다. 갑자기 힘이 들어가지 않고 주먹이 잘 쥐어지지 않아 당황한 김 씨는 설 연휴가 끝나자마자 병원을 찾았다. 김 씨의 진단명은 수근관 증후군으로 판명 났다.

수근관 증후군은 손목 터널 증후군이라고도 불린다. 뼈와 인대가 있는 통로가 좁아지거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서 손끝으로 가는 신경이 자극을 받아 발생한다. 흔한 신경 질환 중 하나로 손목 사용이 많은 주부들에게 많이 나타나며 환자 또한 늘고 있는 추세다.

실제로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손목터널증후군으로 진료 받은 인원을 조사한 결과 2009년 약 12만4000명에서 2013년 약 17만5000명으로 5년 동안 약 5만1천명(41%)이 증가했다. 성별로는 여성(78%)이 남성(22%)보다 4배 가량 더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중장년층에서 많이 나타났다.

노화를 비롯해 당뇨병이나 만성 신부전으로 투석을 받는 환자에게도 흔하게 발생하나 주요 원인은 지속적인 손목 사용에 있다. 따라서 컴퓨터 사용이 많은 회사원이나 운동선수, 가사일로 반복적인 손목 사용이 많은 주부들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구로예스병원의 김민수 원장은 “수근관 증후군은 초기 통증이 심하지 않아 방치하기 쉬우나 심해지면 통증 때문에 밤잠을 못 이루기도 한다”며 “만약 손이 자주 저리고 감각이 무뎌지는 등 손목 증상이 생기면 병원을 찾아 정확히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손가락이 화끈거리거나 손에 힘이 빠지는 증상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손목을 팔쪽으로 구부렸을때 손을 찌르는 듯한 통증이 나타나고 증상이 심해지면 근력이 약해져 가벼운 물건도 들어 올리기 어려워진다.

초기에는 손목을 최대한 사용하지 말고 휴식을 취하면서 찜질이나 마사지 등을 하면 도움이 된다. 하지만 증상이 계속되면 약물 치료나 주사 치료 등 보존적 요법으로 치료를 시행한다. 그럼에도 호전이 되지 않거나 통증이 심하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기도 한다.

김민수 원장은 “지속적이고 반복되는 손목 사용이 가장 큰 발병 원인인만큼 손목 사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으나 가정 주부들은 육아나 집안일로 손목 사용을 하지 않는 것은 불가피 하다고 호소한다”며 “예방을 위해 평소 손목 스트레칭을 자주 하고 무리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