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 노조원 분신… 도급화 다시 쟁점되나

입력 2015-02-17 07:3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금호타이어 곡성공장 노조원의 분신 사망을 사건을 계기로 금호타이어의 직무 도급화 문제가 다시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금호타이어의 직무 도급화는 올해 초 회사를 파업까지 끌고 갔던 핵심 쟁점 사안 가운데 하나였다.

노사는 임단협을 타결하면서도 직무 도급화 문제는 별다른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금호타이어 직무 도급화는 2010년 회사가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작업)에 들어가면서 시작됐다.

공장 직무 597개를 하청회사에 넘겨 생산·운영비를 절감하는 것이 목적이었으며 당시 노조와 합의해 지금까지 521개 직무에 대한 도급화가 이뤄졌다. 이에 따라 현재 금호타이어에는 1000여명의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20여개의 도급회사 소속으로 근무하고 있다.

노조는 나머지 76개 직무에 대한 도급화를 막기 위해 지난해 12월 회사가 워크아웃을 졸업하자 사측에 재협상을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76개 직무 중 48개 직무가 올해 도급회사에 넘어갈 예정이었으며 이번에 사망한 근로자가 맡았던 운반 업무도 전환 대상이었다.

도급화가 16일 근로자 분신의 직접적인 원인이 됐는지에 대해서는 노사 모두 아직 조심스러운 상황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