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대통령 “통일 후 北 SOC·자원개발 계획 세워야”

입력 2015-02-16 10:5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박근혜 대통령은 16일 “통일 이후 북한의 SOC 건설과 자원개발 계획들을 세심하게 세워나간다면 때가될 때 국내외 투자를 받아들일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올들어 처음으로 대통령 직속 통일준비위원회 위원장단 회의를 주재해 이 같이 밝히고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통일한국의 청사진도 그려지게 될 것이고, 통일비용에 대한 우려도 해소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세계의 공공 및 민간자본이 한반도에 투자하고 그것이 세계경제 도약의 종자돈이 될 수 있는 상생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면서 “통일이 우리 민족은 물론 주변국과 세계에도 대박이 될 수 있도록 로드맵을 세우고 공감대를 적극 확산시켜 나가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분단의 세월이 길어지면서 남북주민들간 생활방식이나 인식 차이가 커지고 있다”며 “이런 격차는 정부 차원의 노력만으로 좁히는데 한계가 있다”면서 남북간 민간교류 활성화를 주문했다.

박 대통령은 “진정한 통일시대를 열어가기 위해서는 통일 이후를 내다보는 통일마인드 확산에 적극 노력해달라”고도 했다.

남북관계와 관련해선 “그동안 북한에 대화의 장으로 나오도록 여러 차례 촉구했고 조건 없는 대화를 허심탄회하게 해보자고 여러 번 이야기했지만 여전히 북한은 대화의 전제조건만 나열하며 호응해오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고립에서 벗어나 성장의 길을 걷고있는 몽골의 푼살마긴 오치르바트 전 대통령은 북한에 ‘안보는 핵이 아닌 두둑한 지갑에서 나온다. 북한은 주민을 배불리 먹이고 싶다면 개혁과 개방의 길로 나서야 한다’고 역설했는데 북한은 경험에서 나온 이 고언에 귀 기울여야 한다”고 했다.

박 대통령은 “몽골과 베트남, 미얀마 등은 개혁과 개방을 선택한 이후에 발전과 성장의 길을 걷고있고 얼마 전 쿠바는 미국과 국교를 재개했다”면서 “북한은 이런 변화의 물결을 외면 말고 직시해 하루속히 개혁과 대화의 길로 나서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