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생각] 2월16일 東奔西走(동분서주) 동으로 뛰고 서로 닫고 바쁘다 바빠

입력 2015-02-16 12:5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모레부터 설날연휴다. 토 일요일이 이어져 올해에는 닷새를 쉬게 됐다. 다들 바쁜 설밑이지만 요즘 가장 바빠 보이는 건 택배회사다. 온라인 주문상품이 많아서인지 배달 물량은 작년 설 때보다 20%가량 늘었다고 한다. 택배원들은 낮도 밤도 없이 이리 뛰고 저리 뛰어야 한다. 그야말로 동분서주다.

이 말은 중국 전한(前漢)시대 초연수(焦延壽)의 주역해설서 ‘역림(易林)’에 나온 것이다. 동분서주를 줄인 게 분주인데, ‘주’가 달리는 행위 자체를 말한다면 ‘분’은 무슨 일인가를 위해, 무슨 일인가 생겨서 뛴다는 뜻이다. 동치서주(東馳西走) 동주서분(東走西奔)도 같은 말이다.

중국에서는 동분서주보다 동포서전(東포(足+包)西顚)을 더 쓰는 것 같다. 포나 전이나 다 달린다는 뜻이지만 포에는 땅을 허빈다, 전에는 엎드러진다는 뜻도 있다. 재미있는 말이다. 분주불가(奔走不暇)는 바빠서 겨를이 없다는 말이다.

하는 일 없이 그저 바쁜 건 무사분주(無事奔走)다. 친일 매국노 조중응(趙重應· 1860~1919)에 관한 글에 이런 대목이 있다. ‘그는 세간에서 무사분주(無事奔走)라는 별명을 붙일 만큼 안 끼는 친일단체가 없을 정도로 광적인 친일배였다. (중략) 1916년에는 대정(大正)친목회 및 한성부민회의 회장을 맡으면서 일제 식민지 통치 기반의 구축에 누구보다 열을 올렸다. 일제의 어용 유학기관인 경학원의 설립도 동분서주하면서 선전하고 다녔다.’ 이 경우는 무사분주가 아니라 악행분주(惡行奔走)라 하는 게 맞겠다.

북한 속담에 ‘오목장이 암만 분주해도 제 볼 장만 본다’는 말이 있다는데, 크게 선 장이 아무리 분주해도 장에 온 이들은 자기 볼 일을 본다는 뜻이다. 복잡한 속에서도 제 잇속만 챙긴다는 뜻도 있다. 오목장은 대목장과 같은 말.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