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또의 경제학…대박 복권명당이 ‘로또’맞았네

입력 2015-02-16 09:0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경기둔화로 갈수록 삶이 팍팍해지자 ‘인생역전’을 노리고 로또를 사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연매출 1억원 이상 복권판매점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연간 1억원 이상 매출을 올린 로또 판매점이 117곳(2%)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6월 96개소였던 것과 비교하면 반년새 21곳이나 늘어난 것이다.

복권판매점이 로또 복권 1장을 팔 때 벌어들이는 수입은 약 5%다. 로또 1게임(1000원)을 팔면 50원의 수익이 떨어지는 셈이다.

서울의 한 대박 복권판매점의 지난해 1년 매출액은 192억원으로 순수 수수료 수입만 약 10억원에 달한다. 중소기업 부럽지 않은 매출을 올리고 있어 로또 판매점 주인이 로또를 맞았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한 복권판매인은 “로또는 현금으로만 구매 가능하기 때문에 대박 복권방은 현찰을 정산하는 직원을 따로 채용할 정도”라면서 “하루 매출이 1억원에 달하는 곳은 은행에 통째로 돈 상자를 가져다주기도 한다”고 전했다.

하지만 복권판매점의 수익은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나타난다. 1등 당첨확률인 814만분의 1로 모든 복권판매점에서 동일하지만 많이 팔수록 1등 배출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인기 판매점에 사람들이 몰리고 있다. 전국 6000여곳 로또 판매점의 연평균 매출은 2400만원 정도로, 임대료와 인건비를 제하면 실제로 수익이 한 달에 200만원에 못 미치는 곳이 수두룩하다고 기재부는 설명했다.

복권 판매점은 2003년 9845곳으로 최고 정점을 찍은 이후 자연 감소해 지난해 6월 기준 6056곳이다. 기재부는 지난해부터 3년에 걸쳐 연간 10% 수준을 추가 모집하기로 해 올해 6월말까지 512곳이 추가로 문을 연다.

한편, 지난해 복권판매액은 3조2827억원으로 지난 2013년(3조2340억원)과 비교하면 1.5% 소폭 증가했으나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는 모습이다.

복권은 경기가 불황일수록 잘 팔리는 대표적 상품으로 알려졌지만 기재부는 경제성장이나 신상품 출시, 이월 등 이슈가 생겼을 때 판매액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