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중에 9명 경제상황 불황...장기화 우려

입력 2015-02-15 14: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우리나라 국민 대다수가 현 경제상황을 '불황'으로 보면서 체감하는 물가 수준이 정부 발표치보다 높다고 느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말 성인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경기체감도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93.9%가 현재 경제상황을 불황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국민 대다수가 현 경기상황이 침체(recession)에서 불황(depression)의 위기국면으로 치닫고 있다고 느끼는 것이다. 경제학자들은 실업자의 증가를 수반한 광범위한 불경기를 불황으로, 불황보다는 완만하면서 일시적 경기후퇴를 가리킬 때는 침체로 구분하며 불황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를 꺼려왔다.

불황으로 느끼는 응답자의 48.4%는 경제회복 시기를 내후년(2017년) 이후로 예측하며 불황의 장기화를 우려했다.

경제생활에 어려움을 주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체감물가 상승(23.8%)과 소득 감소(20.1%)가 꼽혔다. 이어 가계부채(13.4%), 노후 불안(12.5%), 고용 불안(10.0%), 전·월세 등 주거비 부담(9.0%), 교육비(8.3%)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응답자가 느끼는 체감물가는 정부기관이 발표한 소비자물가 상승률과도 괴리가 있었다. 통계청은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3%에 그쳤다고 밝혔는데 응답자의 80.2%는 체감물가 수준이 '이보다 더 높다'고 응답했다. 1년 후 체감물가 수준에 대해서도 지금보다 오를 것이라는 답변이 72.4%로 나타났다.

올해 가계소득과 소비 전망에 대해서도 부정적 의견이 우세했다.

가계소득이 작년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응답이 45.4%로 높은 가운데 작년보다 감소할 것(39.6%)이라는 답변이 증가할 것(13.7%)이라는 예측보다 많았다.

소득 감소 전망은 정규직(34.1%)보다는 비정규직(42.5%)이나 자영업(53.0%)에 종사하는 응답자 사이에서 두드러졌다.

가계소비도 절반 이상(51.5%)이 작년보다 악화할 것이라고 답했고 개선될 것이라는 답변은 8.5%에 그쳤다. 가계소비 역시 비정규직(63.6%)과 자영업(56.5%) 계층에서 부정적 응답률이 더 높았다.

또 응답자의 61.8%는 가계부채가 있다고 응답했고 이들 중 44.1%는 1년 후에도 가계부채가 줄지 않은 채 현재 수준이 유지될 것으로, 32.3%는 지금보다 늘어날 것으로 답변했다. 지금보다 줄어들 것이라는 응답은 23.6%에 그쳤다.

가계부채에 대한 부정적 전망은 비정규직(45.1%), 월소득 200만원 이하 저소득층(41.1%)에서 더 높았다.

송원근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장기 경제불황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가계 소비지출 감소를 예상하는 등 경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높았다"며 "현재 경기상황에 따른 고충 요인들을 자세히 살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