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보험사 순익 16.9% 증가...일회성 요인 영향

입력 2015-02-16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저금리와 업황 불황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보험사들의 수익성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일회성 요인과 자산운용 수익 증가 등이 실적 개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1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4 보험회사 경영실적(잠정)'에 따르면 보험사들의 당기순이익은 5조6000억원으로 전년 4조8000억원 대비 8000억원(16.9%) 늘었다.

같은 기간 업권별로 살펴보면 생명보험사의 순이익은 3조2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4000억원(15.7%) 증가했다. 금감원은 신계약 감소 및 저금리에 따른 준비금 적립부담 증가 등으로 보험 영업익은 감소했지만 삼성생명의 삼성물산 처분이익(4768억원)과 공정거래위원회의 생보사 과징금 환급(1286억원) 등 일회성 이익이 발생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손해보험사의 순이익은 2조4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4000억원(18.5%) 늘었다. 자동차보험의 손해율 악화 등으로 보험영업이익은 감소했지만 보험료 수입 증가에 따른 운용자산 증가로 투자영업이익이 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지난해 보험사의 수입보험료는 179조5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5조2000억원(3.0%) 늘었다. 이 기간 생보사의 수입보험료는 110조6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2조원(1.9%) 증가했고 손보사는 68조9000억원으로 3조2000억원(4.9%) 늘었다.

보험사의 총자산이익률(ROA)은 0.69%로 전년 대비 0.03%포인트 상승했고 자기자본이익률(ROE)은 7.10%로 전년 대비 0.53%포인트 늘어나는 등 수익성이 다소 개선됐다.

생보사의 총자산이익률은 0.52%, 자기자본이익률은 5.69%로 전년 대비 각각 0.03%포인트, 0.43%포인트 늘었다. 손보사의 총자산이익률은 1.28%, 자기자본이익률은 9.62%로 0.04%포인트, 0.76%포인트 상승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보험사의 순이익은 일회성 요인을 제외하면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며 수입보험료 증가율이 3.0%로 소폭 성장에 그치는 등 저성장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