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의료기관에 1급 발암물질 석면 자재 사용

입력 2015-02-12 13:3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어린이집을 포함한 다수 공공 건축물에 1급 발암물질인 석면이 함유된 건축자재가 사용된 것으로 드러났다.

부산 북구는 지난해부터 전체 면적 500㎡ 이상 공공 건축물 193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47.7%에 해당하는 92곳에서 석면 자재가 사용된 사실을 확인했다고 11일 밝혔다.

구는 지난해 1차로 1999년 12월 이전에 건축허가를 받은 공공 건축물의 석면조사를 마쳤고, 올해는 오는 4월 말까지 2001~2008년에 허가된 공공 건축물을 조사하고 있다.

지자체 건물 중에서는 1977년에 지은 북구청사, 주민센터 8곳, 보건소, 금곡청소년수련원, 시각장애인복지관, 축산물위생검사소 등 25곳에서 석면이 검출됐다.

도시철도 만덕역, 덕천역에서도 석면이 검출됐으며, 북부산농협 4개 지점, 북부산새마을금고, 구포우체국, 북부산우체국에서도 나왔다.

부산폴리텍대학과 부산과학기술대학에서도 석면 자재가 쓰였다.

의료기관 3곳, 어린이집 10곳, 노인복지관 15곳, CGV 화명과 롯데마트 건물 일부에서도 석면이 검출됐다.

주로 석면이 함유된 천장이나 벽체 자재가 사용된 건물이 대부분이었다.

석면이 쓰인 건축물 가운데 위해등급이 비교적 높은 단계인 중간등급 건축물은 3곳으로 대학 1곳, 어린이집 1곳, 부산시 화명정수장이다.

관련법상 석면 중간등급 건물에는 석면 경고장을 붙여야 하며, 석면이 검출된 모든 건축물은 석면안전관리인을 1명씩 두어야 한다.

그러나 관리인의 자격요건이 명확히 규정돼 있지 않고 1년에 한번씩 정부가 지정하는 위탁기관에서 안전관리교육을 받도록만 돼 있는 사실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북구는 순차적으로 예산을 확보해 청사의 석면 자재를 철거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