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임금불평등 수준, OECD 회원국 중 2위"

입력 2015-02-12 11:1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의 임금불평등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두 번째로 높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정이환 서울과학기술대 교수는 12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가 발간한 '2014 임금 보고서'를 기념하기 위해 연 워크숍에서 이같이 밝혔다.

정 교수는 '국제비교 임금통계의 의미와 한계'를 주제로 한 발제에서 "한국의 저임금 근로자 비율은 2012년 현재 25.1%로 OECD 회원국 중 미국(25.3%) 다음으로 높은 수준이다"고 설명했다. 저임금 근로자 비율은 풀타임 근로자 중 풀타임 근로자 중위임금의 3분의 2 미만을 받는 사람이 차지하는 비율을 뜻한다.

이어 정 교수는 "같은 시기 OECD 평균(2001년 16.9%→2012년 16.3%)과 비교할 때 한국의 임금불평등이 OECD 회원국 중 높은 수준이고, 지난 10년간 임금불평등이 다소 확대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또 "OECD의 피용자보수 통계를 보면 한국 풀타임 근로자의 2013년 구매력 환산 임금(3만6354달러)은 이탈리아(3만4561달러)나 일본(3만5405달러)보다 약간 높고 프랑스(4만242달러)보다 약간 낮은 수준이다"면서도 "이 통계 또한 풀타임 근로자의 연간 총임금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노동시간이 고려되지 않는 한계를 고려해야 하는데, 시간당 임금을 기준으로 하면 한국은 노동시간이 길어 이탈리아나 일본보다 임금이 낮은 수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