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이정원 교수팀, 암 전이 유발 단백질 암전이 능력 제어 기술 개발

입력 2015-02-11 13:2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미래창조과학부는 서울대 이정원 교수 연구팀의 암전이 유발 단백질(TM4SF5)의 암전이 능력 제어 기술과 관련한 연구가 의약학 분야 권위지인 'Hepatology 온라인판(1월 27일자)'에 게재됐다고 11일 밝혔다.

연구팀은 간세포가 장기적인 손상이나 염증 등으로 섬유화되거나 암화되면, 막단백질(TM4SF5)이 과다하게 발현돼 간질환 심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2008년, 2012년에 각각 밝혀냈다.

연구팀은 TM4SF5가 다른 막단백질(CD44)과 결합이 가능한 세포(TM4SF5와 CD44를 발현하는 세포)를 간에 직접 찔러 암이 형성되도록 하면, 그 암덩어리로부터 이탈한 전이능력을 가진 암세포들이 6주가 경과돼도 혈액 속에 살아남아 다른 장기로 전이되고, 소수 세포라도 자가 재생을 통해 전이암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동물실험을 통해 확인했다.

또한 연구팀은 TM4SF5나 CD44가 서로 결합하지 못하거나 각각 생합성되면, 암줄기세포로서의 성향이 나타나지 않아 혈액 속에서 살 수 없고, 자가복제능력이 떨어지게 되어 다른 장기에서 전이암을 형성하지 못함을 규명했다. 특히 연구팀이 TM4SF5의 억제제로 자체 개발한 약물(TSAHC)이 TM4SF5와 CD44의 결합을 저하시켜 암줄기세포 성향과 암전이 능력 억제를 증명했다.

이정원 교수는 “이 연구는 간섬유화 및 간암에 대해 지난 10여 년간 꾸준히 수행한 결과의 일환으로, 암전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TM4SF5가 다른 막단백질과 결합, 상호작용하는 신호체계를 제어하면 암전이를 억제할 수 있음을 증명해 향후 간섬유화 및 간암 치료제 등에 적극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