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첫달 ICT 수출 141.5억달러 …‘반도체 견인’ 1월 기준 사상최대

입력 2015-02-10 11:0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작년보다 6.3%↑…수입 79.4억달러, 무역수지 62억달러 흑자

중국 기업 급성장, 러시아ㆍ유럽 경제 침체 등 대외 악재에도 새해 첫 달 우리나라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이 월 기준 최고 실적을 나타냈다. 반도체 수출이 깜짝 증가한 데 힘입은 결과다.

10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1월 ICT 분야 수출액은 141억5000만 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133억1000만달러) 대비 6.3% 증가했다. 매년 1월 기준 사상 최대 규모다. 지난달 수입액은 1년 전보다 14%나 늘어난 79억4000만달러로 무역수지는 62억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수출 품목별 명암은 엇갈렸다. 1월 반도체 수출은 13.3% 급증한 52억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주력인 메모리반도체(29억3000만 달러, 17.6%↑)가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으며 시스템반도체(19억1000만 달러, 9.5%↑)도 반도체 패키징과 팹리스 수출 호조로 두달 연속 증가했다.

이에 반해 휴대전화 수출은 5.1% 감소한 20억5000만달러로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애플, 중국 로컬업체와의 경쟁이 심화된 탓이다. 특히 스마트폰 수출(7억7000만달러, 35.3%↓)은 연말 재고 조정에 따른 판매가격 하락과 글로벌 경쟁 가열로 큰 폭의 감소세를 기록했다. 다만 부분품(12억9000만달러, 31.6%↑) 수출이 급증하며 완제품 부진을 만회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 TV 패널가격의 강보합세, 부분품 수출 증가에 힘입어 작년 1월보다 1.2% 늘어난 22억5000만달러를 기록했다. LCD 패널은 19억8000만달러로 1년 전보다 0.1% 줄었으며, 부분품 수출은 12.2% 증가한 2억7000만달러였다.

지역별로는 중국(74억9000만달러, 13.7%↑)·미국(12억달러, 12.9%↑) 등에선 수출이 호조를 보인 반면에 경기회복이 지연되고 있는 유럽연합(9억4000만달러, 25%↓)·일본(4억8000만달러, 1.8%↓) 등에서는 처지는 모습이다.

지난달 ICT 수입의 경우 품목별로 아이폰6 등 휴대폰(9억1000만달러, 55.2%↑) 수입이 크게 늘었고, 반도체(33억5000만달러, 13.0%↑), 디스플레이 패널(4억8000만달러, 17.0%↑) 등도 호조세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중국(32억2000만달러, 18.6%↑), 미국(7억달러, 5.9%↑), EU(4억8000만달러, 5.1%↑), 중남미(5000만달러, 21.6%↑) 등은 늘어난 반면, 아세안(ASEAN)(10억7000만달러, 12%↓), 일본(8억1000만달러, 3.5%↓) 등은 감소했다.

▲자료=산업통상자원부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