춥다고 '방콕'하면 온 몸이 통증으로 ‘콕콕콕’

입력 2015-02-09 11:2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추운 겨울철, 근육 경직되고 관절 이완성 떨어져…적절한 운동으로 대비해야

봄을 알리는 입춘이 지났지만 아직 늦겨울의 추운 날씨로 몸을 움츠리고 다니는 사람들이 많다. 추운 날씨 탓에 자신도 모르게 몸이 안으로 굽어지는 것이다. 몸을 움츠리면 목과 허리뼈를 지탱해주는 근육이 긴장되고 경직돼 허리와 엉덩이, 다리에 통증 및 저림증상을 불러올 수 있다. 특히 겨울철에는 야외 활동과 운동량이 줄어 신체 경직 등으로 척추질환에 쉽게 노출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운동을 열심히 하는 사람이라면 날씨에 상관없이 건강한 척추관절의 신체조건을 가지고 있다. 반면 운동을 하지 않는 일명 ‘방콕족’은 추운 날씨로 외부활동마저 줄어 건강관리에 문제가 생긴다.

날씨는 척추관절 환자에게도 많은 영향을 준다. 특히 추운 날씨는 척추관절 통증을 증가시킨다. 척추관절 나누리수원병원 척추센터 최정훈 과장은 "겨울철 허리나 관절 통증이 심해지는 이유는 움츠러든 근육과 혈관수축으로 자율신경계 조절기능이 저하돼 통증에 더욱 민감해지기 때문”이라며, “추위로 자극된 신경이 관절 주위 근육이나 혈관 조직을 수축시켜 관절 주변을 압박하고 혈류를 감소시키는데, 이때 경직된 관절의 이완성이 떨어져 통증을 더욱 악화시키는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춥다고 활동을 하지 않으면 관절에 적절한 자극과 활성화를 시키지 못해 관절액의 유동성이 감소된다. 유동성 감소는 연골에 정상적인 영양 공급을 어렵게 만들어 관절퇴행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겨울철 통증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적정 운동으로 근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햇볕은 비타민D 생성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온도가 많이 떨어지는 오전보다 일조량이 풍부한 오후에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비타민D 결핍은 골다공증의 발병 원인중 하나다.

기온이 많이 떨어지는 날이라면 실외보다 실내에서 스트레칭 등 가벼운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대표적인 허리운동은 엎드려 누워 상체들고 한쪽 다리를 펴서 들었다 내리는 동작과, 무릎 꿇고 엎드려 다리를 가슴으로 붙였다가 펴는 운동이 있다. 무릎운동은 다리에 체중을 싣고 뒷다리를 구부려 수직으로 오르내리는 운동이 있다.

나누리수원병원 척추센터 최정훈 과장은 “평소 척추관절 통증이 있다면, 인터넷 등에서 나오는 운동법을 무작정 따라하는 것보다 가까운 척추병원을 방문해 운동법에 대한 올바른 교육을 받고 운동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