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업계, “주택담보대출보다 PF대출 위축이 걱정”

입력 2006-11-15 16:1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 부동산대책 반응...주택담보대출 비중 거의 없어 안심

15일 정부가 밝힌 부동산대책 내용 가운데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의 담보인증비율(LTV)을 60~70%에서 50%로 강화하는 방안이 추가됐지만 저축은행업계는 이번 대책으로 인해 주택담보대출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며 큰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서울의 한 대형 저축은행 관계자는 “지금까지도 주택담보대출은 거의 못했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실질적인 대출 한도를 줄인다고 해도 달라질 것은 별로 없다”고 말했다.

충청권에 위치한 한 저축은행 관계자도 “지방의 주택담보대출 시장은 이미 은행과 LTV가 상대적으로 높은 단위 신용협동조합에서 장악해 왔다”며 “이번 대책이 담보대출시장에 미칠 영향은 극히 적다”고 말했다.

그러나 저축은행업계는 이번 대책으로 인해 주택담보대출시장에 대한 피해보다는 부동산 PF대출(기획대출)시장에 미칠 영향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재경부가 발표한 자료에는 주택 공급을 늘리겠다는 방침이 포함돼 있다. 그러나 주택 수요자의 자금줄을 묶어놓은 상태에서의 공급은 오히려 주택 분양시장을 얼어붙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 업계의 시각이다.

분양시장의 침체는 결국 저축은행의 주 수익원 중 하나인 부동산 PF대출을 어렵게 만들 것이라는 분석이다.

수도권 저축은행의 한 관계자는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피해보다 분양시장의 침체로 인한 기업여신의 축소로 이어질 것이 우려된다”며 “공급이 많아져도 DTI, LTV 등의 강화는 실수요자 자금조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PF대출을 포함한 기업대출의 위축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저축은행의 관계자도 “이번 대책으로 주택을 포함한 모든 부동산시장이 침체에 빠질 수도 있다는 걱정이 앞선다”며 “부동산 PF대출에 대한 여신심사가 더욱 강화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 저축은행업계에서는 이번 11.15 부동산대책으로 인해 오히려 신용대출시장이 확대될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일부 저축은행에서 여신 포트폴리오 차원에서 개인대출을 늘리기 위해 주택담보대출의 비중을 확대한다는 전략을 세우기도 했으나 이번 조치로 이러한 전략의 수정이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개인대출을 확대하기 위한 방편으로 신용대출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게 된 것.

수도권의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이번 사업연도에 들어서면서 주택담보대출을 총 여신의 30%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웠으나 이번 조치로 수정이 불가피하게 됐다”며 “해주고 싶어도 못해주는 상황이 된 만큼, 준비 중이었던 신용대출 상품의 출시시기를 앞당겨, 이를 확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