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빚 주범' 작년 가계대출 39兆중 95%가 '주담대'

입력 2015-02-03 14:5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난 1년간 은행 가계대출이 39조원을 넘어섰다. 정부의 부동산 경기부양 정책과 기준금리 인하 등으로 주택담보대출이 급증한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금융감독원이 지난 2일 발표한 ‘국내 은행의 대출채권 및 연체율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내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총 518조2000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39조2000억원 늘었다.

금감원이 관련 통계를 공식 작성하기 시작한 2007년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다. 2013년에는 14조5000억원 늘었다. 월별 가계대출 증가분은 12월 5조원으로 10월(5조5000억원), 11월(5조원)에 이어 3개월째 5조원대를 기록했다.

이 중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이 37조3000억원으로 가계대출 증가액의 대부분(95%)을 차지했다. 역시 2007년 공식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이 늘었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364조1000억원이었다. 적격대출 등 은행들이 주택금융공사로 넘긴 실적까지 포함하면 406조원이다.

주택담보대출은 정부의 부동산 경기부양 정책으로 총부채상환비율(DTI)과 주택담보대출비율(LTV) 규제가 완화되고 역대 최저 수준의 대출금리, 전세가격 급등 등이 겹치면서 수요가 급증해 8월 이후 거의 매달 5~6조원씩 폭증했다.

정부는 지난해 8월1일부터 LTV의 경우 제1금융권과 제2금융권 여부,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관계없이 70%로 일률적으로 적용했으며 서울과 경기·인천에 적용되는 DTI도 금융권역과 지역에 관계없이 60%로 적용하기로 했다.

규제 완화 이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가 맞물리면서 주택담보대출은 폭증했다. 한은은 지난해 두 차례 기준금리를 인하해 현재 사상최저인 연 2.0%를 유지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가계대출은 저금리 및 주택거래 호조 등으로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며 “가계부채의 빠른 증가세 등을 감안해 은행의 자산건전성을 면밀히 모니터링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