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수소차 보조금 2700만원 주는데… “국내 민관협력 절실”

입력 2015-01-27 11:2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시장 초기 단계인 수소연료전지 산업을 선점하기 위한 미국, 일본 등의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일본은 지난 20여년간 ‘수소사회 실현’을 국가 비전으로 설정하고 산업기반 구축을 위해 민·관 공동으로 로드맵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 오는 2020년 ‘도쿄올림픽을 계기로 수소사회에 진입하겠다’는 목표를 내걸고 인프라 투자와 제도 정비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해 6월에는 일본 경제산업성(METI)이 제4차 에너지기본계획을 통해 수소 공급망 확충과 규제 완화를 골자로 한 ‘수소·연료전지 전략 로드맵’을 공개했다. 일본은 올해 수소연료전지차 본격 시판을 앞두고 보조금 제도를 마련해 대당 200만~300만엔(최대 2700만원)을 지급한다. 수소 충전소도 2015년 100기, 2025년 1000기, 2030년 3000기를 구축한다.

일본은 또 1곳 당 5억엔(46억원)이 들어가는 충전소 설치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최대 2억8000만엔(약 25억6000만원)까지 보조금을 지원하며, 지난 2010년부터 입지, 안전, 운영관련 규제도 대폭 완화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올해 수소연료전지차 보급에 작년보다 약 3배 가량 늘어난 400억엔(약 370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미국은 세일혁명으로 천연가스 가격이 크게 하락하자 최근 수소에너지 개발에 정책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수소산업 주도 및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지난 2013년에만 총 15억 달러를 투입했다. 지난 2012년 이미 종합적인 수소 인프라 구축 계획을 발표했으며 관련 법규 제정과 함께 향후 10년간 매년 2000만 달러씩 투자하겠다고 선언했다.

유럽은 신재생에너지 활용 극대화 수단으로 수소연료전지에 주목하고 있다.

덴마크는 2050년까지 기존 석유·석탄·천연가스 등 화석연료에 의존하던 에너지 공급원을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가 생산한 전기로 대체하는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또한 친환경 에너지인 수소 이용을 늘리기 위해 파격적인 세제혜택을 주고 있다. 덴마크 현지에서 차를 구매할 경우 차값과는 별도로 차량 가격의 최대 180%의 달하는 자동차 등록세를 내야 한다. 하지만 현지 정부는 수소연료전지차에 대해 이를 면제해 주고 있다.

덴마크는 전체 등록 차량 중 수소연료전지차 보급 목표를 오는 2020년 1%, 2035년 30%, 2050년 50%로 잡았다. 이를 수소연료전지차 대수(누적 기준)로 환산하면 2020년 2만4000대, 2035년 80만대, 2050년 140만대 수준이다.

충전소도 확충해 덴마크는 올해 말에는 전체 인구의 50%가 15㎞ 이내에 있는 수소 충전소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세계 주요국이 수소산업 육성에 나서면서 국내도 민ㆍ관 협력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탄소에서 수소사회로의 패러다임 전환 시기인 만큼 보다 유기적인 민·관 협력 및 투자가 필요하다”며 “수소연료전지차 보급 확산, 충전 인프라 확대, 그린카 에너지 실증사업 추진에서 속도를 내면 미래 수소사회를 주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