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인사,조직개편]靑특보단 법조·언론 등 전문가 진용… ‘옥상옥’ 우려

입력 2015-01-23 15:1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 문건유출 사건 이후 첫 쇄신책으로 23일 발표한 조직개편에서 모습을 드러낸 대통령 특별보좌관단(특보단)은 법조계와 언론계 등 전문가들로 꾸려졌다.

청와대는 이날 개편에서 민정·안보·홍보·사회문화 등 4개 분야 특보 명단을 발표했다. 박 대통령의 지지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가운데 구성된 특보단의 활동에 관심이 몰리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수석들과의 업무중복 등에 따른 마찰을 빚으며 ‘옥상옥’으로 전락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우선 민정특보로는 검사 출신으로 김대중 정부 말기에 검찰총장을 지낸 이명재 법무법인 태평양 고문변호사가, 안보특보로는 임종인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원장이 각각 내정했다. 또 홍보특보에 중앙일보 수석논설위원을 지낸 신성호 성균관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를, 사회문화특보에 김성우 SBS 기획본부장을 각각 내정했다.

민정특보의 경우 이 내정자가 특수 수사통 검찰 출신이고 검찰 조직 내에서 신망이 두터운 만큼 지난해 말 정국을 떠들썩하게 한 문건파동 등으로 드러난 공직기강 해이 사태를 바로잡는 역할에 충실할 것으로 보인다.

안보특보는 임 내정자가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 자문위원, 국방부 사이버사령부 자문위원을 역임한 국내 최고의 사이버분야 전문가이다. 최근 중요성이 커진 사이버테러 대응과 관련한 정책 조언에 힘쓸 것으로 예상된다.

홍보특보와 사회문화특보의 경우 신 내정자와 김 내정자가 모두 신문과 방송 기자 출신이라는 점에서 소통과 관련해 대통령을 보좌하는 역할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민심에 귀 기울여 박 대통령과 청와대의 고질적인 문제인 ‘불통’ 논란을 해소하는데 기여할 전망이다.

향후 발표될 정무특보의 경우 정치인 발탁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여야를 통틀어 국회와의 소통을 통해 정부의 각종 입법 과제를 원활히 처리하고 당정청 관계를 긴밀하게 이끄는 역할이 주가 되는 만큼 친박(친박근혜)계 전현직 중진 의원이 제격이라는 분석이 많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