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헬스 선도사업 시범서비스 개통식 개최

입력 2006-11-09 17:0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보통신부는 10일 서울 코엑스 4층 그랜드 컨퍼런스룸에서 SK텔레콤 조정남 부회장을 비롯한 컨소시엄 관계자 및 국내 u-헬스 관련 전문가들을 초청, ‘u-헬스 선도사업 시범 서비스 개통식’을 개최하고 본격적인 시범 서비스에 돌입할 예정이다.

u-헬스 선도사업은 일반인 및 도서ㆍ산간지역 등에 거주하는 의료소외계층에게 u-헬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역 복지기관 및 의료기관을 연계한 원격진료 환경을 구축하고, 관련 IT 신기술을 적용하여 기술적ㆍ사업적 성공 가능성을 시험ㆍ검증하기 위해 시도됐다.

이 사업의 전담기관인 한국정보사회진흥원은 지난 5월 의료기관, 통신사, 의료기기 제조사, 의료서비스 및 솔루션사, 언론사 등 다양한 산업군의 9개 업체로 구성된 SK텔레콤 컨소시엄을 선정하여 선도사업을 추진해왔다.

개통식에서는 u-헬스 선도사업을 통해 개발된 ▲민간모델(당뇨질환관리 서비스, 고혈압 질환관리 서비스, 만성호흡기 질환관리 서비스, 근골격계 질환관리 서비스) ▲지자체모델(부산, 대구의 u-건강 모니터링 서비스, 대구의 웨어러블 컴퓨터 기반의 u-헬스 서비스, 부산의 u-원격의료 서비스) ▲공공모델(도서산간 방문간호/원격의료 서비스) 등 총 3개 군 8개 서비스 및 관련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민간모델은 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 등 전국 5대 도시를 중심으로 일반인 대상의 당뇨, 고혈압, 만성호흡기, 근골격계 질환 관리 서비스를 발굴해 제공하게 된다. 시범사업을 통해 기술적ㆍ사업적 성공 가능성을 시험ㆍ검증한 후 가능성 있는 서비스를 중심으로 상용화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공공모델은 도서ㆍ산간 지역 등 의료 취약 지역 및 소외 계층을 대상으로 한 u-헬스 서비스 모델을 발굴함으로써 정부 차원에서 취약계층에 대해 보편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적ㆍ제도적 지원방안을 찾기 위한 것이다.

또한 지자체 모델은 지역의 복지ㆍ요양시설 이용자를 대상으로 u-헬스 서비스 모델을 개발ㆍ적용해 지역차원의 공공서비스를 실현하고, 해당 지역의 전략산업 육성을 지원해 지역산업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정통부는 부산광역시의 u-시티 구축 전략 및 대구광역시의 웨어러블컴퓨터산업 육성정책을 u-헬스 선도사업과 연계하여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u-헬스 서비스를 중점적으로 발굴ㆍ제공했다.

이날 발표된 u-헬스 서비스는 IT 및 보건의료기술을 이용해 고령화ㆍ양극화 등 국가적 현안 사항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는 한편, u-헬스 산업 활성화를 촉진시킴으로써 유비쿼터스 시대의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