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자부, '의장이 행정책임자 임명' 내각제형 지자체 도입검토

입력 2015-01-21 15:0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행정자치부가 21일 보고한 올해 '정부혁신 분야' 업무계획에는 자치단체장과 자치의회가 대립하는 현재의 '분리형' 자치단체 지배구조 외에도 '통합형' 지배구조 도입을 검토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우리나라 모든 지방자치단체는 단체장과 지방의회를 각기 선출하고, 집행부와 지방의회가 서로를 견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단체장의 권력독점과 전횡을 막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단체장과 지방의회 다수당이 다를 때에는 상호 대립과 기싸움이 심해져 의사결정과 업무추진이 교착에 빠지는 등 비효율을 초래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행자부는 이에 따라 전국적으로 일률적인 대립형 지배구조 외에 '통합형'을 허용하는 방안을 올해 적극 검토키로 했다.

통합형 지자체 지배구조는 선거로 구성된 의회가 행정의 주요한 의사 결정을 하고, 의장이 자치단체장의 역할을 겸하는 형태가 유력하다. 일상적인 행정은 의회가 관료 중에서 임명한 '책임행정관'에 일임된다. 책임행정관은 기업의 전문경영인과 비슷한 역할로 볼 수 있다.

통합형 지자체 지배구조를 도입하려면 정치권과 정부의 여론수렴, 법 개정 등을 거쳐야 하므로 올해 안에 당장 시행되기는 어려운 것으로 전해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