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만 EG 주식재산, 현정부 들어 '반토막'

입력 2015-01-12 07:0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박지만씨가 회장인 산화철 등 소재 제조업체 EG의 주가가 현 정부 들어 급락해 박씨의 주식재산이 반토막이 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EG 주가는 2013년 이후 지난 9일 현재까지 55.46% 하락해 이 회사 시가총액은 2천989억원에서 1천331억원으로 감소했다.

여기에다 박씨가 대출을 갚기 위해 일부 주식을 내다 파는 등 지분을 소폭 줄이면서 박씨의 지분 평가가치는 같은 기간 857억원에서 345억원으로 59.68% 급감했다.

박씨는 현재 EG 지분 25.95%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EG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2011년 847억원·23억원, 2012년 1천17억원·7억원, 2013년 1천230억원·64억원 등으로 다소 기복은 있지만 대체로 성장세를 보였다.

그런데도 EG 주가는 2012년 초 6만∼7만원대에서 2012년 말 3만9천850원, 2013년 말 1만6천300원으로 급락한 이후 예전 주가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에도 3∼4월에 2만원 후반대까지 올랐다가 이후 꾸준히 하락해 9일 현재는 1만7천750원에 머물렀다.

이처럼 EG 주가가 떨어진 것은 지난 2012년 대선을 앞두고 대표적인 '박근혜 테마주'로 꼽혀 급등한 데 따른 여파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EG 주가는 2010년 1만원대, 2011년 2만원대를 지속하다가 2011년 12월부터 폭등해 2012년 초 한때 8만원대까지 뛰어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이후 2012년 9월까지 5만원대 이상을 유지하다가 12월 대선 전후로 본격 하락세를 타기 시작해 오늘에 이르렀다.

거래소에 따르면 EG의 최근 실적 기준 주가수익비율(PER)은 28.31배, 주가순자산비율(PBR)은 2.45배에 이른다.

같은 업종 타사의 평균 PER 10.88배와 비교하면 두 배 이상이어서 대선 이후 주가 하락에도 주가 수준이 여전히 동종 업계에서 상당히 높은 편이다.

EG는 꾸준히 이익을 내는 가운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등 신사업 분야의 기술 개발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EG 주가의 한때 급등과 이후 하락은 뚜렷한 근거가 없는 '정치 테마주' 거품이 낳은 후유증의 한 사례가 될 것이라는 평가가 많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