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검진 잘 받으면 심뇌혈관계 합병증·사망률 적어

입력 2015-01-07 14:0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대병원, 건보공단 검진자료 이용한 분석 발표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하는 국가건강검진을 잘 받는 사람은 그렇지 않는 사람에 비해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뇌혈관계 합병증과 사망률이 낮고 의료비를 적게 쓰는 것으로 밝혀졌다.

7일 서울대학교병원에 따르면 건강증진센터 가정의학과의 이혜진, 신동욱, 조비룡 교수 연구팀은 국가건강검진 수검 여부에 따른 심뇌혈관계 합병증·사망률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를 저명 국제학술지인 ‘예방의학 (Preventive Medicine)’지 최근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40세 이상 건강보험 가입자 44만3337명을 대상으로 2003~2004년에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그룹(16만607명)과 받지 않는 그룹(28만2730명)으로 나눈 후, 2010년 12월까지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검진을 받은 그룹은 받지 않은 그룹에 비해 심뇌혈관계 질환(심근경색, 뇌졸중 등) 사망률은 42%, 심뇌혈관계 질환 발생률은 18% 낮았다.

연구팀은 2003~2004년에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15만5620명을 대상으로 2005~2006년에도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그룹(11만278명)과 받지 않는 그룹(4만5342명)으로 나눈 후 2010년 12월까지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검진을 받은 그룹은 받지 않은 그룹에 비해 심뇌혈관계 질환 사망률이 27% 낮았다.

검진을 받은 그룹은 받지 않는 그룹에 비해 외래 이용횟수는 더 많았지만, 입원을 적게 하고 의료비를 적게 쓰는 경향을 보였다.

2003~2004년에 검진을 받은 그룹은 심뇌혈관질환에 관련해 연 평균 12만5000원의 외래 및 37만5000원의 입원의료비를 쓴 반면, 받지 않은 그룹에서는 연 평균 13만5000원의 외래 및 48만원의 입원의료비를 썼다.

이번 연구와 관련 이혜진 교수는 “검진 참여자들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을 새로 발견할 확률이 높았다” 며 “현행 국가건강검진이 무증상의 심뇌혈관계 질환 요인의 조기발견과 예방관리를 목표로 하는 것과 부합하는 결과다“라고 말했다.

신동욱 교수는 “기존의 검진 여부 및 흡연, 음주, 비만도, 질환력 등을 충분히 보정한 후에도 검진의 효과가 나타나는 것에는, 국가 검진 프로그램이 심뇌혈관 질환의 예방관리의 계기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