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사 개인정보 유출·KB사태…금융권 10대 뉴스

입력 2014-12-18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올해 금융권 10대 뉴스로 카드사 개인정보 유출 사고와 KB사태에 따른 금융회사 지배구조 문제 등이 꼽혔다.

한국금융연구원은 18일 ‘2014년 금융권 10대 뉴스’로 △카드사 개인정보 유출 사태와 개인정보 보호의 강화 △KB 사태와 금융회사 지배구조 △예금금리 1% 시대 임박 △원-위안 직거래 체제 출범 △우리금융 민영화 추진과 잠정적 연기 △금융기관 수익성 악화 △노믹스 전성시대; 초이노믹스, 아베노믹스 등 △미국QE 종료 △금융실명제 강화 △대부업 영향력 확대 등을 선정해 발표했다.

올해 1월 카드사에서 고객 개인 정보가 대량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유출된 개인정보는 KB카드 약 5300만 건, NH카드 약 2500만 건, 롯데카드 약 2600만 건 등 중복자와 사망자, 기업 등을 제외하고도 약 8500만 건에 달했다.

이에 신용카드 3개사에 3개월 영업정지 처분이 내려졌고 관련 책임자 수십 명이 중징계를 받았다. 정부는 재발방지를 위해 영업을 목적으로 한 금융지주 계열사 간의 고객정보 제공을 금지했다. 또한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을 통해 금융기관의 주민번호 처리 근거를 마련하고 전자금융거래법 상 정보유출 관련 형벌과 과태료를 상향조정했다.

KB사태와 금융회사 지배구조 문제도 주요 뉴스로 뽑혔다. 국민은행 주 전산기 전환과 관련해 지주와 자회사 CEO, 이사회 등의 권한 싸움이 장기간 계속되면서 지배구조 상의 불안정성이 외부에 노출됐다.

또한 당시 임영록 KB금융지주 회장은 관료 출신, 이건호 국민은행장은 한국금융연구원 출신인 탓에 ‘관피아(관료+마피아)’와 ‘연피아(금융연구원+마피아)’의 세력 다툼이라는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미국 연방준비위원회의 양적완화(QE3) 공식 종료도 포함됐다. 연준은 자산매입 종료를 결정하면서 금리 수준은 상당기간 동안 현재 수준으로 유지하겠다는 지침도 함께 발표했다. 금융연구원은 “미국 내 가계소비와 기업투자, 고용시장 등이 완만한 호조세를 보인 것이 이번 양적완화 종료의 주요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예금금리 1% 시대의 임박도 주요 뉴스로 선정됐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올해 8월과 10월 기준금리를 두 차례 인하해 2%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예금가입자가 세후 수령하는 정기예금 금리는 1%대로 추락했다.

이 밖에 금융실명제가 강화돼 계좌 명의자와 실소유자가 합의한 경우에도 차명거래는 불법으로 간주됐다. 지난해 10대 뉴스에도 꼽혔던 우리금융지주 민영화 추진은 올해도 금융계의 큰 이슈로 떠올랐으나 교보생명이 입찰을 포기하면서 잠정 연기됐다.

원-위안 직거래 체제 출범과 한중일 3국에서 각각 추진한 초이노믹스, 시지노믹스, 아베노믹스 등 정책드라이브 등도 10대 뉴스에 포함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