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2만8176가구로 가장 많아…구입비용ㆍ관리비 부담에 매수 선호도 ↓
올해 수도권 소재 아파트 중 전용면적 85㎡를 초과하는 중대형 아파트의 절반은 매매가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12월 2주차 시세 기준 전용면적 85㎡ 초과 수도권 아파트(주상복합 포함) 총 77만3591가구 중 40만3965가구는 2013년 말 대비 매매가가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용면적 85㎡를 초과하는 수도권 아파트 중 52.22%로 절반이 넘는 수치다.
시도별로 중대형 물량 중 매매가가 하락한 현황을 살펴보면 △서울 16만1030가구 △경기 19만5501가구 △인천 4만7434가구로 집계됐다.
서울은 강남구가 1만5083가구로 가장 많았고 뒤를 이어 서초구가 1만2341가구, 송파구가 1만1647가구, 양천구가 1만1522가구 순으로 많았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4/12/600/20141217030025_557816_350_307.jpg)
이들 지역은 서울에서도 고가·대형 아파트가 집중된 곳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비교적 대형 아파트 선호도가 높은 편이나 부동산 매매시장 약세가 이어지면서 매매가가 하락한 것으로 분서됐다.
강남구는 재건축 또는 리모델링 등 개발호재를 기대할 수 없는 단지를 중심으로 매매가가 하락했고 서초구 역시 재건축 단지가 별로 없고 전세수요가 많은 서초동, 방배동 일대를 중심으로 매매가가 하락했다.
송파구는 문정동 올림픽훼밀리타운, 방이동 올림픽선수기자촌 등 입주한지 오래된 대단지 아파트에서 전용면적 135㎡를 초과하는 대형 아파트 매매가가 하락했다. 또한 가락동 일대 주상복합단지, 거여동·풍납동 등 잠실동에 비해 선호도가 다소 낮은 지역에서 매매가 하락이 많았다.
양천구는 목동신시가지 단지 중 전용면적 135㎡를 초과하는 대형 아파트와 주상복합 단지를 중심으로 매매가가 하락했다.
경기도에서는 고양시가 2만8176가구로 수도권에서 전용면적 85㎡ 초과 아파트 중 매매가 하락한 가구수가 가장 많았다. 뒤를 이어 용인시가 2만6343가구로 많았고 화성시가 1만5725가구, 성남시가 1만4270가구, 수원시가 1만2691가구 순이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4/12/600/20141217030127_557820_350_297.jpg)
특히 고양시는 일산신도시 외곽에 위치해 편의시설 등 이용이 다소 불편한 일산동과 삼송택지지구 내 새 아파트 입주 영향으로 화정동, 행신동에서 가구수가 많았다.
용인시는 지하철 이용이 불편한 공세동·동백동·중동 및 대형 아파트가 집중된 성복동·신봉동 등에서 매매가가 하락한 가구가 많았고, 화성시는 동탄2신도시 입주를 기다리는 수요자들로 전세 선호현상이 강하게 나타나면서 반송동, 석우동, 반월동, 병점동 등에서 전용면적 85㎡ 초과 아파트 매매가 하락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성남시와 수원시는 판교·광교신도시 내 새 아파트 영향으로 기존 아파트 매수세가 줄면서 대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매매가가 하락했다.
이 같이 수도권 중대형 아파트 매매가의 하락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김미선 부동선써브 선임연구원은 "고가·대형 아파트의 경우 초기비용 및 관리비 부담이 큰데다 최근 1~2인 가족 증가 등으로 매수자들 선호도가 낮아 현재 급매물 거래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때문에 전용면적 85㎡ 초과 중대형 아파트 매매가 하락세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자료제공 : (주)부동산써브(www.serve.co.kr) 부동산연구팀 김미선 선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