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국의 주택매매거래량이 2006년 이후 8년 만에 최대치를 갈아치울 것으로 보입니다.
국토교통부는 오늘 지난달(11월) 주택매매거래량이 9만1050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7.2%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올 들어 지난달까지 누적 거래량을 보더라도 91만4043건입니다. 역시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20.5%나 급증했습니다.
이는 금융위기 전 주택경기가 한창이던 2006년 거래량 94만4000여건에 이어 최대치를 기록 중인데요. 12월까지 집계하면 2006년 거래량을 훌쩍 넘을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은 11월 누계기준 13만6362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37.2%, 수도권 전체(42만4437건)는 31.2% 각각 늘었습니다.
같은 기간 지방의 거래량은 48만9606건으로 12.5% 증가한 것을 보면, 올해 수도권의 주택거래가 매우 활발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택거래 증가에도 불구하고 집값은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는데요. 정부가 부동산 거래활성화를 통해 집값을 띄우려고 했지만, 시장은 정부의 기대와 다른 모습입니다.
전국의 주요 아파트 단지에 대한 실거래가격을 분석한 것을 보더라도 서울지역은 약보합, 지방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 때문이라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많습니다.
9·1 대책 이후 반짝 효과가 있었지만 전반적인 경기침체가 이어지고 여전히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도 낮아 투자심리를 부채질하기에는 한계가 뚜렷하다는 지적입니다.
국회 입법조사처도 “최근 거시 경제와 부동산시장의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라는 진단을 내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