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72% “임금피크제 통한 정년연장 긍정적”

입력 2014-12-09 11: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가 2016년 정년 연장 의무화를 앞두고 내년부터 공공기관에 우선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임금피크제에 대해 직장인들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이 직장인 559명을 대상으로 ‘임금피크제를 통한 정년연장에 대한 생각’을 조사한 결과 절반 이상인 72.3%가 ‘긍정적’이라고 답했다고 9일 밝혔다.

직급별로 살펴보면, ‘과장급’(82.4%)이 가장 많았고, ‘부장급 이상’(80.2%), ‘평사원’(70.7%), ‘대리급(64.4%) 순이었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이 76.8%로 ‘여성’(64.4%)보다 긍정적이었다.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로는 ‘노후 준비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어서’(64.9%,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다음으로 ‘연봉보다 오래 일하는 게 더 중요해서’(45%), ‘고령화 사회 대비책이라서’(43.6%), ‘업무 노하우 등을 활용할 수 있어서’(26.7%), ‘압박 없이 여유 있게 일할 수 있어서’(24%), ‘청년 채용 등과 균형을 맞출 수 있어서’(16.1%) 등이 있었다.

반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응답자(155명)들은 그 이유로 ‘기업에만 유리한 방법 같아서’(41.3%,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 ‘직간접적 퇴사압박이 심할 것 같아서’(40%), ‘변칙운용이 많을 것 같아서’(34.2%), ‘연봉이 줄어들어서’(32.3%), ‘어차피 정년까지 일할 수 없을 것 같아서’(29.7%), ‘당사자의 박탈감이 클 것 같아서’(28.4%), ‘신규 채용이 약화될 것 같아서’(25.2%) 등이 뒤를 이었다.

직장인들이 희망하는 정년연장 방법도 ‘정년 연장형 임금피크제’(27%)와 ‘정년 보장형 임금피크제’(21.1%)가 가장 많았다. 이밖에 ‘정년 제한 없는 무정년’(15.2%), ‘정년만 연장’(14%), ‘유연근로제’(11.1%), ‘재고용제도’(5.7%) 등의 의견도 있었다.

실제로 희망하는 정년은 22.9%가 ‘64세 이상’을 선택했다. 다음은 ‘58~60세 이하’(22%), ‘61~63세 이하’(18.8%), ‘무정년’(17%), ‘55~57세 이하’(5.4%) 등의 순이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