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용직 일자리 26년만에 최저
![](https://img.etoday.co.kr/pto_db/2014/11/600/20141119120505_542244_575_601.jpg)
일용직 일자리가 26년래 최저 규모를 기록한 가운데 일용직의 정의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통계청은 19일 일용직 고용 동향을 통해 올 일용근로자수가 1988년 이후 최저 수준인 160만2000명이 됐다고 발표했다.
일용직 일자리 수는 통계가 시작된 1982년부터 2000년까지 증가 추세를 보여오다가 2002년 역대 최고 규모인 250만3000명을 찍었다. 이후 2000년부터는 하향세로 돌아섰다.
한 민간연구소 관계자는 "그동안은 경기가 안 좋으면 일용직도 줄어드는 추세가 있었지만, 최근에는 일자리 증감과 경기 상황을 연결짓기가 어려워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면서 "다만 건설업의 경기 부진과 산업 구조 변화에 따른 농업 고용 둔화 등이 하나의 원인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통계는 일용직 규모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일용직은 하루를 단위로 임금을 지급받는 노동자를 말한다. 고용계약기간이 정해져있는 기간제 노동자도 여기에 해당한다. 일용직, 임시직, 촉탁직이 포함된다. 일용직은 근로계약을 1일 단위로 체결하고 그날의 근로가 끝나면 사용종속관계가 끝난다. 다만 일용직이더라도 같은 고용주에게 3개월 이상 고용되면 근로소득 신고 대상자가 될 수 있다. 이 때부터는 정규직으로 4대 보험을 적용받는다.
일용직 일자리 26년만에 최저 소식을 들은 네티즌은 "일용직 일자리 26년만에 최저, 건설 경기가 안 좋아서 그런가","일용직 일자리 26년만에 최저, 그만큼 경기가 안 좋다는 뜻으로 봐야 하나","일용직 일자리 26년만에 최저, 불안정한 일자리는 늘고 있는 것 같은데" 등의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