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초고도비만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검진 빅데이터(2002~2013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국내 인구 가운데 초고도비만 환자 비율은 2002년 0.17%에서 지난해 0.49%로 2.9배 높아졌다. 같은 기간 환자수는 8516명에서 5만2205명으로 6.1배 증가했다.
소득 수준별로 살펴보면 소득이 적어 국가로부터 의료비를 전액 지원받는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지난 해 초고도비만율은 1.23%로 건강보험료를 많이 내는 상위 5% 집단의 초고도비만율(0.35%)보다 무려 3.5배나 높았다.
의료급여 수급자를 빼고 건강보험 가입자만 따져도 보험료 하위 5% 집단의 초고도비만율(0.75%)이 상위 5% 집단(0.35%)보다 0.4%포인트나 높았다.
거주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2013년 기준 16개 시도중 제주도의 초고도비만율이 0.68%로 가장 높았고, △강원도(0.62%) △인천광역시(0.59%) 순이었다.
성별로는 제주도 지역 남성의 초고도비만율이 0.75%로 가장 높았고, 울산광역시 지역 남성이 0.38%로 가장 낮았다. 여성은 강원도가 초고도비만율이 0.66%로 가장 높았고, 대구광역시 여성이 0.33%로 가장 낮았다.
동국대병원 오상우 가정의학과 교수는 "저소득층에서 초고도비만율이 높은 이유중의 하나는 건강식품인 채소·과일보다는 패스트푸드에 대한 접근성이 높은 반면 운동에 대한 접근성은 떨어지기 때문이다"며 "특히 초고도비만인 경우에는 심리적 위축 및 경제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쳐 저소득층이 되는 악순환이 될 수 있으므로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